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한국민주화운동사. 1 :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GEM000011240 금빛마을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현대사 전공자들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한국 민주화운동사 총정리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의 근현대사를 살펴본다!『한국민주화운동사 1 |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분단과 전쟁, 그리고 해방. 그리고 이어진 독제.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온갖 격변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던 혼돈과 모색의 길을...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한국민주화운동사 1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엮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돌베개가 대한민국 건국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총정리하는 <한국민주화운동사>(전3권)중 첫째 권. 1권은 제1공화국 이후 제3공화국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주요 사건으로는 1952년의 부산정치파동에서부터 1970년의 전태일 분신, 1971년의 광주대단지사건까지를 다루고 있다. 유신 시기와 1987년 서울의 봄 이후의 상황을 정리한 2권과 3권은 오는 2010년까지 완간될 예정이다.

목차

1권

발간사
총론

제1부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장 이승만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1 민주 헌정질서 파괴와 혁신정당의 등장
부산정치파동과 4사5입개헌파동 | 호헌동지회 결성과 야당의 분화
2 이승만 정권의 반대세력 탄압
야당탄압 | 진보당사건 | 언론탄압과 2·4파동

제2장 4월혁명
1 4월혁명의 배경
사회경제적 상황과 5·2 총선 | 3·15부정선거 획책
2 2·28의거에서 마산시위까지
2·28의거의 발발과 부정선거항의투쟁의 전국적 확산 | 3·15부정선거 | 제1·2차 마산시위
3 4·19봉기
4·18 고려대생 시위 | 피의 화요일
4 이승만 정권의 붕괴
4·25 대학교수단 데모 | 승리의 화요일
5 4월혁명의 성격과 의의
4월혁명의 성격 | 4월혁명의 의의

제2부 4월혁명 직후의 민주화운동

제1장 4월혁명 직후 민주화 이행
1 허정 과도정권의 성격과 내각책임제 개헌
허정 과도정권의 기본 정책과 이승만·자유당 체제 청산 문제 | 내각책임제 개헌과 기본권 확대
2 7·29 총선과 장면 정권의 출범
7·29 총선 | 장면 내각 탄생과 민주당 내분 | 지방자치 선거
3 혁명입법 추진
1960년 10월 8일 6대사건 판결 | 혁명입법 | 특별검찰부와 특별재판소의 활동 | 경찰 숙정
4 장면 정권의 통일정책과 대미·대일 관계
통일정책 | 군부의 동요와 한미관계 | 한일관계 | 장면 정권에 대한 평가

제2장 4월혁명 직후 대중운동의 성장
1 학원민주화운동과 계몽운동
학원민주화운동 | 국민계몽대의 활동
2 노동운동의 분출
4월혁명과 노동운동 | 교원노동조합의 조직과 활동
3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과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피학살자유족회의 조직과 활동 | 제주4·3사건 진상규명운동 |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제3장 4월혁명 직후 통일운동과 진보적 사회운동의 전개
1 통일운동단체의 결성과 활동
통일논의와 통일운동의 대두 | 학생 민족통일연맹의 조직과 활동 | 통일운동 관련 정당·사회단체의 활동 | 민족자주통일협의회의 조직과 활동
2 진보적 사회운동의 분출
한미경제협정반대투쟁 | 2대악법반대투쟁 | 남북학생회담 제안과 지지집회

제3부 박정희 정권과 유신 이전의 민주화운동

제1장 5·16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의 수립
1 5·16쿠데타와 군부직접통치
5·16쿠데타의 발발 | 군부직접통치 | 군사 정권에 대한 지식인의 대응
2 민정이양과 박정희 정권의 수립
민정이양을 둘러싼 논란 | 1963년 대통령 선거와 사상논쟁

제2장 한일협정반대투쟁
1 한일협정반대투쟁의 배경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통합전략과 한일회담 | 5·16쿠데타 이후 한일회담의 진전
2 1964년 한일회담반대투쟁
한일회담반대투쟁의 전개 | 박정희 정권과 학생들의 갈등 고조 | 6·3시위의 전개와 좌절
3 1965년 한일협정 조인·비준 반대투쟁
한일협정조인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무효화투쟁
4 한일협정반대투쟁의 성격과 의의
민족주의의 고양 | 민주화운동의 성장

제3장 6·8부정선거규탄투쟁과 3선개헌반대투쟁
1 베트남파병반대와 사카린밀수규탄투쟁
베트남파병반대투쟁 | 사카린밀수사건과 정경유착·재벌 규탄 | 학원자유화투쟁
2 1967년 선거와 부정선거규탄투쟁
1967년의 정치 상황과 6·8부정선거 | 6·8부정선거규탄투쟁의 시작과 확산 | 동백림·민비 연 사건과 이후의 6·8부정선거규탄투쟁
3 3선개헌반대투쟁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 시도 | 3선개헌반대투쟁의 전개

제4장 학원병영화반대투쟁과 민주수호투쟁
1 학원병영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박정희 정권의 사회·학원 통제 강화 | 대학교련 강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2 1971년 양대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대통령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 양대 선거 이후 학생운동세력의 대응
3 박정희 정권의 지식인 통제와 사법부파동
언론·학문·사상의 자유 억압과 지식인의 저항 | 사법부파동과 사법권 독립 모색
4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국가비상사태 선포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부정부패규탄시위 확산 | 학생운동 초강경 탄압과 국가비상사태 선포

제5장 민중생존권투쟁의 분출―전태일의 분신과 광주대단지사건
1 도시 노동빈곤층의 형성과 생존의 위기
산업화와 이농의 물결 | 노동빈곤층의 생존 위기 | 정부의 노동빈곤층 대책
2 전태일의 분신과 노동운동의 전환
1960년대 노동운동의 전개 과정 | 청년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
3 광주대단지사건
1960년대 무허가판잣집철거반대투쟁 | 광주대단지 건설과 철거민의 생활실태 | 광주대단지 주민의 집단적 저항
4 민주화운동으로서 생존권투쟁의 위상
전태일 분신의 사회적 파장 | 광주대단지사건의 의미와 영향 | 생존권투쟁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2권

발간사 5
총론: 유신체제하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와 그 성격 19

제1부 유신체제의 성립과 유신 전기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

제1장 유신체제의 성립과 억압구조
1 유신체제의 수립 배경과 과정 39
1970년대 초 국내외 정세 변화 | 남북대화의 시작과 국가비상사태 선언 |
유신체제 기획과 수립
2 유신체제의 억압구조와 통치 이념 65
정치적 비민주성과 억압성 | 사회·문화적 통제와 동원 | 유신체제의 통치 이념

제2장 유신 전기 반독재민주화투쟁의 전개
1 유신 직후의 정치상황과 반독재민주화투쟁(1972년 10월~1973년 전반기) 89
유신 직후의 정치적 상황 | 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의 태동과 정권의 탄압 |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2 대학가의 반유신 민주화시위와 개헌청원100만인서명운동 101
김대중 납치사건과 그 파장 | 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의 확대 |
개헌청원100만인서명운동과 긴급조치 1·2호
3 민청학련과 긴급조치 4호 125
민청학련 조직과 투쟁 |
1974년 하반기∼1975년 유신반대투쟁의 전개와 민주회복국민회의 |
1975년 전반기 유신반대투쟁과 긴급조치 7호

제2부 긴급조치 9호와 유신 후기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와 이데올로기
1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 179
긴급조치 9호의 도입 | 긴급조치 9호의 지배구조
2 긴급조치 9호의 이데올로기 기제 198
새마을운동과 새마을교육: 유신이념 실천 도량과 한국적 민주주의의 구현 |
충효 교육: 국민총화의 이데올로기

제2장 긴급조치 9호 시기 반독재민주화투쟁
1 긴급조치 9호 선포와 민주화운동 203
인도차이나사태 직후 유신정권의 공세와 학생운동 |
재야 민주화운동에 대한 탄압과 3·1민주구국선언
2 민주화운동의 침체 극복과 연대기구 결성 모색 225
학생운동의 침체 극복과 대규모 시위 전개 | 재야 연대조직 결성 제안과 지식인들의 저항
3 학생운동의 전환과 유신철폐투쟁의 전개 243
연합가두시위 전개와 투쟁 방식의 전환 | 카터 방한 반대투쟁과 유신철폐투쟁
4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결집과 유신철폐투쟁 266
1978년 지식인·문인·청년운동과 민주주의국민연합 결성 |
연대기구 개편과 민중 주체 민주주의·민족통일 천명 |
긴급조치 9호 시기 유신반대민주화투쟁의 의의

제3장 부마항쟁과 유신체제의 붕괴
1 부마항쟁의 발생 배경 295
유신체제 말기의 사회·정치적 위기구조 | 부산·마산 지역의 위기상황 |
지역 민주화운동세력의 성장
2 부산지역 항쟁 320
항쟁의 발단: 부산대 교내시위의 분출과 시가지 진출 | 도심지 민중항쟁의 폭발과 확산 |
계엄령 선포와 부산지역 항쟁의 종료
3 마산지역 항쟁 337
마산지역 민중항쟁의 폭발과 확산 | 위수령과 마산지역 항쟁의 종료
4 부마항쟁의 귀결과 의의 350
10·26정변과 박정희 피살 | 유신체제의 붕괴 | 민주화운동 대중화의 기초

제3부 각 부문에서의 민주화운동

제1장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1 개신교계의 민주화운동 359
개신교계 민주화운동의 등장과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인권위원회 | 산업선교와 빈민선교 |
학생과 청년의 민주화운동: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과 한국기독청년협의회
2 천주교계의 민주화운동 380
천주교 민주화운동의 등장과 지학순 주교 구속사건 | 사제단과 정평위의 민주화운동 |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지원
3 민주화운동의 신학 398
4 유신시기 종교계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408
‘교회 내 사회운동 부문들’의 형성과 발전 |
그리스도교 민주화운동의 포괄성과 ‘운동권’의 형성 |
교회들의 정치적 자율성과 예외적 민주화 참여 | 국제적 네트워크와 지원 구조 |
개신교와 천주교의 연대

제2장 언론·출판계의 민주화운동
1 언론계의 민주화운동 425
유신 전후 언론통제와 언론자유수호투쟁 | 자유언론실천선언운동과 동아일보 광고탄압
2 출판계의 민주화운동 447
출판문화운동 | 양서협동조합운동

제3장 지식인과 문화예술인의 민주화운동
1 유신체제 성립과 지식인·문화예술인의 상황 457
2 지식인의 민주화운동 461
박정희 정권의 탄압과 지식인의 대응 |
해직교수협의회 결성과 지식인 저항운동의 전개
3 문화예술인의 민주화운동 469
문학계의 민주화운동 | 문화예술계의 민주화운동
4 지식인·문화예술인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논리 481

제4장 인권운동
1 유신체제 수립과 인권유린 489
2 인권운동 단체의 성립과 인권운동 전개 494
인권운동 단체의 성립 | 인권운동의 전개 과정 | 인권운동의 논리와 특징

제5장 민중운동
1 노동운동 515
유신체제하의 노동조건 | 민주노조 탄생: 유형을 중심으로 |
민주노조운동의 전개과정: 사업장별 사례를 중심으로 | 지식인과 노동운동 |
유신체제하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
2 농민운동 620
유신정권의 농민정책과 농촌 현실 | 농민운동 단체의 결성과 활동 |
농민운동의 전개 | 농민운동 탄압과 그에 대한 대응 |
1970년대 농민운동의 성격과 의의
3 도시빈민운동 664
유신체제기 도시빈민의 현실과 박정희 정권의 도시빈민정책 |
도시빈민의 저항과 저항 조직화 | 도시빈민선교기구 해체와 도시빈민운동의 침체 |
유신체제기 도시빈민운동의 의미와 역할

참고문헌 685
찾아보기 711

3권

발간사
총론: 1980년대 민주화운동: 배경, 전개과정, 성과와 한계

제1부 신군부의 등장과 5·18민중항쟁

제1장 신군부의 등장과 '서울의 봄'
1 10·26정변 이후 유신세력의 대응과 12·12군사반란
한·미 정부의 대처와 '통대선거' 실시 | 12·12군사반란과 신군부의 군권장악
2 10·26정변 이후 민주화세력의 대응과 '통대선출 저지 국민대회'
정치세력의 동향과 개헌논의 전개 | 재야세력과 '통대선출 저지 국민대회'
3 학원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신군부의 집권 추진
학생회 부활과 학원민주화운동 전개 | 야당세력 통합 실패와 신군부의 정권장악 추진
4 민중투쟁의 확산과 학생들의 계엄철폐투쟁
사회경제 현실과 노동자 생존권투쟁 확산 | 학생들의 계엄철폐투쟁과 '서울역 회군'

제2장 5·18민중항쟁
1 5·18민중항쟁의 배경
박정희의 지역주의와 김대중 억압 | 10·26정변 이후 광주지역의 민주화운동
2 5·18민중항쟁의 발발과 전개
공수부대의 살인적 체포작전과 '피의 일요일' | 광주시민들의 분노와 지도자 없는 항거 |
운전기사들의 봉기와 민중항쟁으로의 확산 | 공수부대의 발포와 시민들의 무장투쟁 ㅣ
시민공동체의 자치활동과 수습대책위원회 | 계엄군의 '폭동진압작전'과 항쟁의 종결 |
신군부의 범죄혐의 조작과 보복적 극한 처벌
3 5·18민중항쟁의 의의와 명예회복
5·18민중항쟁의 성격과 의의 | 5·18민중항쟁의 명예회복

제2부 전두환 정권과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5공화국의 성립과 전두환 정권의 지배구조
1 5·17쿠데타 이후 권력기반 구축작업
2 전두환 정권의 등장과 체제정비
3 국민의 비판의식 마비를 겨냥한 사회문화정책
4 민주주의 탄압과 유화조치의 양면성
5 부패와 비리사건으로 얼룩진 전두환 정권

제2장 전두환 정권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1 1980년대 초기의 민주화운동(1980. 6∼1983. 12)
1980년대 학생운동의 시작―'무림'과 '학림' 185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학생운동의 대중적 기반 확대 | 청년운동의 도약―민청련 결성과 활동 |
정치권의 변화와 민추협 결성
2 유화국면 이후 민주화운동의 고조(1983. 12∼1984. 12)
유화국면의 시작 | 학생회의 부활과 정치투쟁의 고조
3 2·12총선과 민주화운동의 약진(1985. 1∼1985. 9)
2·12총선 | 전학련과 삼민투 | 학원안정법 반대투쟁 |
민주화운동세력 결집―민통련 결성
4 개헌정국하의 민주화운동(1985. 9∼1986. 12)
개헌정국 전개와 개헌논의 시작 | 투쟁의 고양과 정권의 탄압

제3부 6월민주항쟁과 민주화 이행

제1장 6월민주항쟁
1 박종철 고문사망과 민주대연합 구축
박종철고문사망사건 | 2·7추도대회와 3·3평화대행진 |
4·13호헌조치 철폐투쟁 | 5·18고문조작 폭로와 민주대연합 강화
2 6월항쟁의 전개
항쟁의 시작―6·10국민대회 | 항쟁으로의 발전―명동성당 농성과 넥타이부대 시위 | 항쟁의 확대―6·18최루탄추방대회 | 대단원―6·26평화대행진
3 6·29선언과 6월항쟁의 의의
6·29선언 | 6월항쟁의 의의

제2장 1987년 노동자대투쟁
1 노동자대투쟁의 전야: 6월민주항쟁과 노동운동
2 87노동자대투쟁의 개념과 의미
3 87노동자대투쟁의 특징
4 87노동자대투쟁의 의의와 한계

제3장 민주화 이행, 성취와 한계
1 6·29선언의 이중적 의미와 민주화연합의 이완
2 헌법개정과 1987년 헌법의 등장
3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김영삼·김대중의 분열
4 재야세력의 분열
5 민주정부 수립의 실패와 지역주의 정치의 등장

제4부 노태우 정권과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3당 합당과 공안통치를 통한 보수세력 재편
1 봇물처럼 터진 민주화운동과 야당의 5공 청산 요구(1988∼1989)
헌정사상 최초의 여소야대를 가져온 1988년의 4·26총선 | 여소야대 국회에서의 법·제도 개혁 | 6공 정권 내부분열의 심화: 5공 청산과 중간평가
2 노태우 정부의 대응: 공안정국과 3당 합당
방북사건과 1차 공안정국(1989∼1990) | 3당 합당을 통한 보수대연합 구축 |
1991년 5월투쟁과 2차 공안정국
3 보수대연합의 귀결, 김영삼 정부의 출범

제2장 노태우 정권하의 민주화운동
1 민주화 '이후' 운동의 활성화
5공 청산문제와 민주화운동 | 1989년 공안정국의 도래와 민주화운동 |
전대협과 전민련의 활동 | 각 부문운동의 활성화
2 1991년 5월투쟁과 그 이후
1991년 5월투쟁 463 | 1991년 5월투쟁 이후 민주화운동
3 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운동 흐름의 출현
정치세력화를 향한 두 가지 실험 | 시민운동의 등장

제5부 각 부문의 민주화운동

제1장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1 5·18민중항쟁과 종교인들
항쟁의 과정과 종교인들 | 5·18광주민중항쟁 계승을 위한 종교계의 노력
2 각 종교계의 민주화운동
개신교계의 민주화운동 | 천주교계의 민주화운동 |
종교계 민주화운동의 외연 확장: 불교와 원불교
3 부문운동과 종교계
4 1980년대 종교계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의의

제2장 언론·출판계의 민주화운동
1 신군부의 언론탄압에 대한 저항
언론검열철폐 요구와 제작거부투쟁
2 전두환 정권 시기 언론출판계의 민주화운동
언론계의 민주화운동 | 출판계의 민주화운동
3 6월민주항쟁 이후의 민주화운동
언론사 노조결성과 민주화운동 | 국민주 형식의 신문들 등장 |
시민언론운동의 성장

제3장 교육계·학계의 민주화운동
1 1980년대 교수·교사 사회
2 교육민주화를 위한 교사운동의 전개
6월민주항쟁 이전의 교사운동 | 전국교사협의회의 결성과 활동 |
교과별 교사모임의 탄생과 '교과모임연합' 결성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건설과 정권의 탄압
3 교수·연구자들의 민주화운동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결성과 활동 | 학술단체협의회 결성과 활동
4 민자당의 출현과 교육계·학계 민주화운동의 대응
5 교육계·학계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의의

제4장 문화예술운동
1 패배의식을 극복하기 위한 문화운동론 모색(1980∼1983)
전두환 정권의 '문화통치'에 대한 대응 | 현실에 발언하기 시작한 문화 소집단의 확산
2 민민운동 조직화와 민중문화운동협의회(1984∼1987)
공개 문예운동단체 결성 | 노동현장 무예운동의 새로운 흐름 |
6월민주항쟁과 문화 6단체
3 대중운동고양기의 문화예술운동(1988∼1992)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결성 | 대중운동 속에서의 문예활동
4 1980년대 민주화운동에서 문화예술운동의 성격과 이후의 향방
시기별 문예운동의 성격 | 1990년 이후 문예운동의 분화

제5장 인권운동
1 1980년대의 인권 상황과 '인권운동'
1980년대 '인권운동'의 정의 | 인권 상황: 조작간첩사건, 고문, 의문사
2 조직적인 인권운동의 등장과 발전
양심수 가족들의 피해자 가족 중심운동 | 고문사건 폭로와 인권운동 조직 결성
3 6월민주항쟁 이후 인권운동의 변화
부문운동으로서의 인권운동의 성장 | 인권운동 영역의 확대
4 1980년대 인권운동의 성격

제6장 노동운동
1 1980년대 전반기의 상황
1980년대 전반기 사회경제 상황 | 1980년대 전반기 노동운동의 전개
2 87노동자대투쟁
대투쟁의 점화와 폭발(6월 말∼8월 초순) | 대투쟁의 확산과 민주노조 건설(8월 초순∼8월 말) | 공권력의 억압과 투쟁의 약화(8월 말∼9월 말)
3 87노동자대투쟁 이후
정세의 변화 | 노동운동의 급성장과 변화 |
민주노조운동의 형성 | 20세기 말 노동운동의 도전과 응전
4 1980년대 노동운동의 특성
1980년대 전반기의 노동운동 |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노동운동

제7장 농민운동
1 '녹색혁명형 농업'의 전말
'녹색혁명형 농업'의 전개 | '녹색혁명형 농업'의 결과
2 농민운동의 전개과정
1980년대 초(1979. 10. 26∼1983년 말) |
1980년대 전반기(1983년 말∼1985년 말): 대중적 경제투쟁 전개와 투쟁력 강화 |
1980년대 후반기(1986년∼전농 창립): 농촌지역의 정치적 민주화운동의 확대·강화와 농민운동의 질적 발전 | 새로운 농민운동 모색
3 1980년대 농민운동의 성격과 의의

제8장 도시빈민운동
1 1980년대 도시빈민층 상황
3저 호황과 빈민층 상황 | 빈민촌 개발 압력과 국제행사
2 생존권운동의 분출과 발전
1980년대 빈민운동의 개막: 목동 철거반대투쟁 | 철거반대투쟁의 확산과 서울시철거민협의회 결성 | 전세금 폭등과 임대주택 쟁취 | 임대주택 쟁취 이후의 과제와 철거반대투쟁의 분화 | 노점상 단속과 조직적인 저항
3 빈민운동의 새로운 모색
일용노동자운동 모색 | 공동체운동과 자활지원사업 | 주거권운동
4 1980년대 도시빈민운동의 의의

제9장 여성운동
1 1980년대 여성운동의 성립 배경
민주화운동과 여성문제 인식의 만남 | 유신체제하의 국가와 여성운동 |
여성문제 인식의 확산과 운동주체의 형성
2 1980년대의 개막: 새로운 여성운동의 등장과 초기 조직화
신생 단체들의 출현과 활동 | 사회변혁과 여성해방: 이념논쟁의 진통
3 1987년 이전 여성운동의 흐름
사안별 연대활동의 시작: 경찰의 여대생 추행사건 | 3·8세계여성의 날 기념 한국여성대회의 개최 | 여성노동자들의 생존권투쟁과 지원활동 | 부천서 성고문사건과 연대의 확장
4 1987년 이후 여성운동의 발전과 변화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출범 | 지역 및 부문 여성운동의 발전 |
사회운동 지형의 변화와 여성운동 | 1990년대로의 길목, 남겨진 과제들

제10장 통일운동
1 6월민주항쟁 이전 남북대화와 통일운동 모색
남북 당국 간 대화 및 상호 통일방안 제의 | 민통련 창립 전후의 통일논의
2 6월민주항쟁 직후 대중적 통일운동의 등장
남북학생회담 및 공동올림픽 개최 요구 | 북한바로알기운동과 부문별 통일운동 전개
3 탈냉전기 통일운동의 확산과 남북관계의 변화
방북 열풍과 범민련 결성 | 남북기본합의서 채택과 통일논의의 확산
4 1980년대 통일운동의 성격과 의의

참고문헌 |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