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항일과 친일의 역사 따라 현충원 한 바퀴 : 친일파 김백일부터 광복군까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11178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 국립4ㆍ19민주묘지, 수유리묘역, 효창공원까지 독립운동가와 친일파가 함께 잠들어 있는 현충원 역사 기행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일제강점기 항일과 친일의 갈림길에서 다른 길을 선택한 친일파와 독립운동가가 함께 잠들어 있다. 2009년 11월 초...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항일과 친일의 역사 따라 현충원 한 바퀴 - 김종훈 지음
친일파와 평생 독립운동을 했지만 결국 국가공인과 비공인 친일파 발밑에 잠들게 된 독립운동가, 즉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의열단, 광복군 출신 애국지사들의 이야기다. 감정을 최대한 배제한 채 친일파와 지사들의 공식적인 행적에만 집중해 서술했다.

목차

・이 책을 읽기 위해

1부 국립서울현충원
・한눈에 보는 국립서울현충원
・추천 답사
・국립서울현충원의 역사
・서울국립현충원 친일파 묘역 위치(총 35명)
・임시정부요인묘역
・무후선열제단
・독립유공자들이 잠든 곳

1장 국립서울현충원의 국가공인 친일파
01 김백일 _독립군 때려잡던 친일파, 어떻게 현충원에 묻혔나?
02 신응균 _대한민국 포병의 아버지가 감추고 싶은 이력 하나
03 신태영 _“야스쿠니가 목표”라고 외쳤던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의 과거
04 이응준 _“천황에게 충성을” 외치던 대한민국 국군의 아버지
05 이종찬 _3대가 친일했지만 묘비엔 ‘명문 혈통’으로 언급된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06 백낙준 _해방 후 독립유공자 심사위원이 된 연세대 총장의 과거
07 김홍준 _친일파 선정 발표 뒤 현충원에 재안장된 간도특설대원

2장 국립서울현충원에 잠든 비공인 친일파들
01 박정희 _만주군 박정희가 남긴 기록 “멸사봉공, 견마지로”
02 정일권 _대통령 빼고 모든 걸 다 이룬 만주군 출신 최장수 총리
03 안익태 _《친일인명사전》에 오른 작곡가의 노래는 어떻게 애국가가 됐나
04 채병덕 _무능했던 일본군 출신 육군참모총장의 최후
05 임충식 _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된 간도특설대 병사

3장 친일파 아래 잠든 국립서울현충원의 지사들
01 신규식 _그를 ‘임시정부의 아버지’라 불러야 하는 이유
02 이상룡 _조선의 선비들이 이상룡과 같았다면, 역사는 어찌됐을까?
03 지청천 _친일파 이응준 발아래 잠든 광복군 사령관의 비애
04 김성숙 _이제는 제대로 알려져야 할 독립운동가 출신 민주주의자
05 김익상 _조선 최고의 상남자, 그를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06 이재명 _이완용을 찌른 칼이 한 치만 더 깊었다면
07 나석주 _“나는 투쟁했다. 2천만 민중아, 분투하여 쉬지 말라”
08 박열 _일본 감옥에서 외친 말, “나는 조선인이로소이다”
09 김상옥 _1:1000, 종로를 흔든 그날의 총성
10 박재혁 _‘가기허다수익’이면 ‘불가기재견군안’
11 이종암 _끝까지 살아남았다면, 그는 현충원에 잠들었을까?
12 조명하 _‘로즈데이’를 기념하는 당신에게 알려주고 싶은 한 사람
13 남자현 _영화 〈암살〉의 전지현은 정말로 남자현을 모티브로 했을까?

2부 국립대전현충원
・한눈에 보는 대전현충원
・추천 답사
국립대전현충원의 역사
국립대전현충원 친일파 묘역 위치(총 34명)

1장 국립대전현충원의 국가공인 친일파
01 신현준 _‘광복군’으로 신분 바꾼 해병대의 아버지
02 김석범 _‘창씨개명’만 하지 않은 해병대 사령관의 비밀
03 송석하 _“간도특설대 창설에 가장 큰 영향 끼친 인물”
04 백홍석 _친일파 백홍석이 묘비에 남긴 말 “한 점 부끄럼이 없다”
05 백선엽 _한국전쟁 ‘영웅’의 감추고 싶은 과거 기록

2장 국립대전현충원에 잠든 비공인 친일파들
01 김창룡 _김구 암살의 배후는 어떻게 현충원에 잠들었나?
02 방원철 _친일과 항일, 남과 북을 모두 ‘걸은’ 유일한 인물
03 황장엽 _주체사상을 만든 황장엽이 현충원에 잠든 이유

3장 친일파 아래 잠든 국립대전현충원의 지사들
01 곽낙원과 김인 _독립운동가 ‘김구’를 만든 사람들
02 정정화 _임정의 어머니, 그녀가 해방 후 정치를 하지 않은 이유
03 조문기 _우리가 놓쳤던 ‘마지막 레지스탕스’의 비극

3부 국립4·19민주묘지와 효창공원
1장 국립4・19민주묘지
・한눈에 보는 국립4·19민주묘지
・추천 답사
01 김경승 _친일파가 국립4・19민주묘역에 남긴 짙은 흔적
02 국립4・19민주묘역에 잠든 4・19혁명 시민 희생자
03 근현대사기념관 _북한산 자락에 자리한 귀한 장소

2장 수유리묘역
・한눈에 보는 수유리묘역
・추천 답사
01 김창숙 _조선의 마지막 선비는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싸웠다
02 무후광복군과 이시영 _누군가는 기억해야 할 애국지사들
03 이준 _밀명을 받고 네덜란드 헤이그까지 갔건만
04 신익희 _그가 살았다면, 대한민국은 어떻게 변했을까?
05 여운형 _그날 혜화동로터리에서 총성이 울리지 않았다면

3장 효창공원
・한눈에 보는 효창공원
・추천 답사
01 효창공원 묘역에 잠든 애국지사들
02 백범김구기념관과 의열사
03 안중근 _효창원에 마련된 가묘
04 차리석 _임시정부의 버팀목

・에필로그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