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주린이도 술술 읽는) 친절한 경제책 : 경제 왕초보가 꼭 알아야 할 기본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49404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번 주식붐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20, 30대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다는 것이다. 올 한 해 동안 2030세대를 위한 주식책들이 쏟아졌지만 주식투자에 특화된 경제책은 찾기가 힘들었다. 더욱이 평소 경제에 관심이 많았던 사람이나 경제학 전공자가 아닌 이상 경제 관련 서적을 읽어내기란 쉽지 않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주린이도 술술 읽는 친절한 경제책 - 박병률 지음
오랫동안 경제부 기자로 일해 온 저자가 그간 여러 사람들에게 받아왔던 경제 관련 질문들을 80가지로 추려 명료하게 답한 책이다. 경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묻고 답하기(Q&A) 형식을 빌었기에 책 제목처럼 술술 읽힌다.

목차

지은이의 말 _ 경제를 알아가는 주린이의 궁금증을 확 풀어드립니다

1장 돈의 흐름을 알아야 주식시장이 보인다
환율이 상승하는데 왜 원화 약세라고 부르나요?
원화는 언제 강해지고 언제 약해지나요?
왜 환율이 상승하면 주가가 떨어지나요?
환율만 보고 있으면 주가 예측이 가능한가요?
남북정상회담을 하는데 왜 환율이 떨어지나요?
미국이 이란을 공격하는데 왜 우리 환율이 오르나요?
환율조작국이 뭔가요? 우리도 지정 가능성이 있나요?
현찰 살 때와 팔 때, 송금 보낼 때와 받을 때 왜 환율이 다른가요?
우대환율을 받으면 환율을 깎아주나요?
미국이 금리를 내렸는데 왜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나요?
해외에서 명품가방을 카드로 살까요, 현금으로 살까요?
해외에서 원화로 카드결제하면 더 유리한가요?
환율 때문에 국민소득이 감소할 수 있나요?
금리를 내리면 왜 경기가 부양되는 건가요?
미국과 중국은 왜 ‘1달러=7위안’에 집착하나요?
금리 상승을 지지하는 사람을 왜 매파라 부르죠?
금리 상승기에 채권을 사면 왜 손해인가요?
어떻게 마이너스 금리가 가능한가요?
금리는 앞으로 계속 하락만 할까요?
환율을 고정시키면 안 되는 건가요?

2장 주식투자로 돈 벌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투자지식
코스피지수는 네 자리, 코스닥지수는 세 자리인 이유는?
배당을 받으려면 언제까지 주식을 갖고 있어야 하나요?
배당만 받은 뒤 주식을 팔아버리면 되지 않나요?
배당금은 언제 입금되나요?
증권사가 망하면 내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ELS, DLS가 도대체 뭔가요?
유상증자를 하면 주가에 나쁜가요?
최근 들어 공모주는 왜 엄청난 인기가 있나요?
테마주는 누가 정하는 거고,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공매도는 주가하락 때 어떻게 돈을 버나요?
파생상품이란 게 도대체 뭔가요?
선물과 옵션은 도대체 뭔가요?
쿼드러블 위칭데이에 네 마녀는 어떻게 요술을 부리나요?
자사주를 매입하면 왜 주가가 오르나요?
자사주 매입이 배당과 같다고요?
리츠와 부동산펀드는 뭐가 다르나요?
주가가 오르면 기업은 어떤 점이 좋은가요?
경제성장률이 낮은데도 주가가 오를 수 있나요?
배당을 아예 안 주는 주식도 있나요?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왜 뜨거운가요?

3장 주린이를 위한 자산 만들기 프로젝트
33만 원 카드결제 vs. 30만 원 현금결제?
아이 명의 통장에 저축을 하면 불법인가요?
예?적금 만기일이 휴일이면 언제 돈을 찾나요?
새마을금고는 예금자보호를 안 해주나요?
오늘 예금했다가 오늘 빼도 이자가 붙나요?
청약저축은 예금자보호가 안 된다는데요?
채권은 유통되는데 예금은 왜 유통이 안 되나요?
세액공제와 소득공제 중에서 어떤 게 유리한가요?
신혼부부 혜택을 받고 싶은데 언제까지가 ‘신혼’이죠?
확정일자와 전세권 설정 중 어떤 게 유리한가요?
부부 공동명의를 하면 뭐가 좋은가요?
주택보급률이 100%가 넘는데 왜 집값은 오르나요?
시행사와 시공사의 개념, 여전히 헷갈려요
카드결제를 안 받으면 불법인 거 맞죠?
주택연금 가입자가 사망하면 담보 아파트는 어떻게 되나요?
정부는 왜 보유세를 올리려고 하나요?
건폐율과 용적률은 어떻게 다른가요?
은행과 증권사에서도 금을 판다고요?
마이너스 통장을 쓰면 이자가 빨리 붙는다는데요?
마이너스 통장을 쓰면 신용대출보다 손해일까요?

4장 주식투자로 성공하려면 경제의 흐름부터 챙기자
경제성장률 전망은 왜 자꾸 틀리나요?
잠재성장률은 왜 안 맞나요?
잠재성장률이 계속 떨어지면 망하는 건가요?
국가부채 240%인데도 일본은 왜 안 망하나요?
왜 엔화가 안전자산인 건가요?
외환보유액은 어떻게 쌓는 건가요?
외환보유액을 늘리는 데 돈이 든다고요?
물가 상승률 0%라는데 왜 1만 원으로 살 게 없지요?
재정수지는 헷갈리게 왜 2가지를 쓰나요?
한미통화스와프는 어떻게 환율을 떨어뜨리나요?
일본과는 왜 통화스와프를 안 맺는 건가요?
‘홀딩스’가 붙는 회사는 어떤 회사들인가요?
삼성그룹은 왜 지주사로 전환하지 않나요?
스타트업과 벤처는 뭐가 다른 건가요?
공기업을 왜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나요?
유튜버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숫자를 표기할 때는 왜 세 자리마다 쉼표를 찍나요?
CDS 프리미엄에 왜 그렇게 신경을 쓰나요?
미국 성장률이 한국 성장률보다 10배나 나쁜 게 맞나요?
마이너스 유가인데 왜 기름값을 안 내리나요?

5장 주제어로 재미있게 이해하는 경제용어
동물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캘린더와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심리와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그리움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어린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초록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소비와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편향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역사와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문학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자연과학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겨울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제용어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