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기술과학
도서 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 : 동과 서, 과거와 현재를 횡단하는 건축 교양 강의
  • ㆍ저자사항 전봉희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 21세기북스: 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21
  • ㆍ형태사항 365 p. : 천연색삽화, 도표 ; 21 cm
  • ㆍISBN 9788950997113
  • ㆍ주제어/키워드 나무 한국 건축 문명 KI신서 건축역사 건축이론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1263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건축 문명은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로 가고 있을까?서울대 건축학과 교수가 들려주는 한국 건축의 진화와 미래왜 한국의 전통 건축은 나무로 만들어졌는가. 왜 오늘날 한국의 주거 형태는 아파트로 대표되는가. 『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은 30년 넘게 건축역사학을 연구해온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 - 전봉희 지음
30년 넘게 건축역사학을 연구해온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전봉희 교수의 책으로, 인류가 이룬 세계 건축 문명의 지형 속에서 한국 건축의 어제와 오늘을 재해석하고 미래를 그린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모두를 위한 건축 이야기

1부 건축 문명의 동과 서, 나무 건축과 돌 건축

우리를 둘러싼 건축
건축을 만드는 자연 조건
판테온 이전의 건축과 판테온 이후의 건축
가장 오래된 건축 재료, 나무와 돌
나무와 돌이 만든 네 가지 건축 시스템
‘동’과 ‘서’의 건축 문명
나무와 돌이 아닌 건축
동아시아 목조 건축의 세 가지 장점
‘건축’이라는 단어의 탄생
생각의 차이가 만든 건축의 차이
불교 문화와 조형성
높이와 깊이에 대한 열망
한국 건축을 보는 세밀한 시선
―동양 건축과 서양 건축의 구분은 가능할까

2부 전통 건축, 단조로움 속의 차이를 발견하다

집짓기의 시작
기둥을 바로 세우는 일
건축의 규모와 격식을 만드는 보와 도리
지붕, 가장 섬세하고 감각적인
집짓기의 마무리
전통 목조 건축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
목조 건축 계획의 기본, 3칸×3칸
실내 공간의 구성, 기둥 빼기와 이동하기
뜬 바닥과 땅 바닥의 차이
집합의 질서, 축과 마당
근대 이후 목조 건축의 운명
살아 있는 전통
―건축의 형태적 전통은 어떻게 이어지는가

3부 한옥에서 아파트까지, 가장 일상적이고 친밀한 건축의 진화

한날한시에 태어난 쌍둥이, 한옥과 양옥
지난 세기에 일어난 주택의 변화
한옥과 아파트는 모두 한국의 주택이다
선사시대의 움집에서 발견한 초기 온돌
마루의 두 가지 기원
작은 건물이 모여 하나가 된 고대 주택
온돌의 발명을 둘러싼 가설들
온돌이 바꾼 일상
온돌과 마루, 그리고 부엌으로 완성된 한옥
긴 집과 뚱뚱한 집
도시형 한옥의 탄생
도시인을 위한 또 다른 집, 양옥
부엌, 주택 근대화의 주역
온돌이 깔린 아파트의 등장
다음 세대의 일상 건축
―역사의 흔적, 적산가옥이 남긴 영향

4부 세계와 만나는 한국 건축 문명

한국 건축의 시작은 어디일까
불교와 만난 고급 건축의 전파
고대 건축의 성숙, 미륵사와 황룡사
석탑에서 발견한 한국 건축의 전통
첫 번째 고전기, 새로운 조형의 완성
석탑으로 보는 중심주의 해체와 새로운 양식의 성장
두 번째 고전기, 인터내셔널리즘이 남긴 유산
역사상 가장 폐쇄적인 사회의 전통 건축
서구 근대 문명이 가장 마지막에 발견한 나라
근대 도시와 만난 건축
새로운 개방 시대와 패러다임의 변화
세 번째 고전기, 지금 우리가 마주한 세계
역사의 역동성으로 만드는 미래
―서구 건축 문명에서 ‘전통’은 어떤 의미일까

에필로그 전통을 넘어 세계 문명 속으로
참고문헌
도판목록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