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예술
도서 (진중권의)서양미술사. [3],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ㆍ저자사항 진중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휴머니스트, 2021
  • ㆍ형태사항 352 p.: 천연색삽화; 22 cm
  • ㆍ일반노트 권차번호는 임의부여임
  • ㆍISBN 9791160806236
  • ㆍ주제어/키워드 미학자 장정 현대미술 미술사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1846 v.3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서양미술사여행의 시작,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리커버판 출간《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시리즈는 2008년 ‘고전예술’ 출간을 시작으로 2011년에는 ‘모더니즘’을, 2013년에는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2018년에는 ‘인상주의’를 출간하며 10년의 장정을 마쳤다. 우리 시대의 유쾌한 미학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 (리커버판) - 진중권 지음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리커버판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진중권의 서양미술사》를 색다른 디자인과 견고한 장정으로 새단장한 것이다. 책마다 다루고 있는 예술사조의 대표적인 작품을 덧싸개와 양장 표지에 펼쳐내고, 세련된 디자인과 감각적인 재질로 마감해 소장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목차

지은이의 말

들어가기_후기 모더니즘과 네오 아방가르드
아방가르드에서 형식주의로 | 냉전의 역설 | 비평의 시대 |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 | 미술과 사물성 | 평판화면 | 모더니즘의 종언 | 네오 아방가르드 | 재현의 복귀

1. 폴록_캔버스 안의 검투사
잭 더 드리퍼 | “혼돈은 무슨. 빌어먹을” | 추상표현주의 | 형식주의 비평 | ‘액션 페인팅’ | 구상으로 회귀 | 상징에서 지표로 | 폴록 그 이후

2. 앵포르멜_무정형한 물질의 충동
점령의 트라우마 | 회화의 전환 | 형태에서 물질로 | 물질의 시학 | 기저 유물론 | 거름자리 위의 꽃잎 | 형태를 향하여

3. 색면추상_네가 누구 앞에 서 있는지 알라
새로운 평면성 | 형식이 아니라 주제 | 무로부터의 창조 | 숭고는 지금 | 그것은 살아 숨 쉰다 | 열광의 감정

4. 탈회화적 추상_뜨거운 추상에서 차가운 추상으로
두 개의 대안 | 회화 이후의 추상 | 연속과 단절 | 부드러움에서 딱딱함을 | 하드에지와 색면추상 | 미니멀리즘과 팝아트

5. 미니멀리즘_네가 보는 것은 네가 보는 것이다
환영과의 고투 | 하나의 유일한 사물 | 반관계주의 미니멀리즘 | 현상학적 미니멀리즘 | 유물론적 미니멀리즘 | 개념적 미니멀리즘 | 사물성과 연극성 | 미니멀리즘 이후

6. 개념미술_육체를 벗어버린 예술
예술의 종말론 | 오브제에서 개념으로 | 개념미술의 전략들 | 철학 이후의 예술 | 언제 예술인가?

7. 팝아트_사진 뒤에는 아무것도 없다
카운터 아방가르드 | 브리티시 팝 | 프로토 팝 | 평판화면 | 핸드메이드와 레디메이드 | 기계와 공장 | 모던에서 포스트모던으로 | 지시와 허상 | 실재의 귀환

8. 상황주의 인터내셔널_스펙터클에 맞선 전사들
팝아트와 상황주의 | 스펙터클의 사회 | 문자주의와 상상주의 | 예술의 폐지와 실현 | 상황주의의 전략들 | 매체의 상황주의적 사용 | 전환과 회복

9. 해프닝_액션 콜라주에서 해프닝으로
폴록의 유산 | 회화의 파괴 | 연극적 전회 | 콜라주에서 해프닝으로 | 열여덟 개의 해프닝 | 포스트모던 아방가르드

10. 플럭서스_정신병자들이 탈출했다
해프닝과 플럭서스 | 정신병자들이 탈출했다 | 다다와 레프 | 인터미디어

11. 게르하르트 리히터_리히터의 ‘흐리기’
카멜레온 | 지본주의 리얼리즘 | 사진과 회화 | 리히터의 블러 | 푼크툼 | 숭고의 부정적 묘사 | 포스트모던

12. 신표현주의_새로운 야만인들
새로운 야만인들 | 민족의 정체성과 주체성 | 스스로 부과한 억압 장치 | 독일 카페 | 신표현주의 논쟁

나가기_후기 모던이냐 포스트모던이냐
연속이냐 단절이냐 | ‘확장된 장’으로서 포스트모던 | ‘연극성’으로서 포스트모던 | ‘알레고리 충동’으로서 포스트모던 | 타자의 담론

미주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