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언어
도서 논어로 배우는 한자
  • ㆍ저자사항 지은이: 박민영
  • ㆍ발행사항 서울 : 앨피, 2016(2017쇄)
  • ㆍ형태사항 346 p. ; 23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논어》에 대해 ; 《논어》의 시대적 배경 ; 공자의 생애
  • ㆍISBN 9791187430087
  • ㆍ주제어/키워드 논어 한자 LP 깨우침 한자공부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2550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논어] 속에는 우리가 익히 알던 근엄하고 융통성 없는 백면서생白面書生 공자 선생이 아니라, 유연한 사고방식과 인간적인 고민으로 번뇌하는 ‘인간 공자’의 모습이 생생히 담겨 있다.『논어로 배우는 한자』는 2,500년 전의 지식인 공자의 삶과 그의 사상을 있는 그대로 접하는 감동을 전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논어로 배우는 한자 - 박민영 지음
'논어'는 동양철학의 최고봉으로 한자를 익히고 한문을 공부하려는 사람이면 누구나 읽어보고 싶은 텍스트이다. '논어' 속에는 우리가 익히 알던 근엄하고 융통성 없는 백면서생白面書生 공자 선생이 아니라, 유연한 사고방식과 인간적인 고민으로 번뇌하는 ‘인간 공자’의 모습이 생생히 담겨 있다.

목차

머리말 05

01 | 군자는 쓰이지 않는다
■ 한자로 철학하기 01 ┃ 큰 나무는 쓸모가 없다
02 | 말은 뜻이 통하면 그것으로 족하다
03 | 공자는 미신을 믿지 않았다
■ 한자로 철학하기 02 ┃ 공자가 제사를 중시한 까닭
04 | 상례는 슬픔의 표현이어야 한다
05 | 인자가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
06 | 군자의 공명심
■ 한자로 철학하기 03 ┃ 명성을 바라지 않음으로써 명성을 얻다
07 | 군자는 말은 무거우나 실천은 민첩하다
08 | 인간은 모두 비슷하다
09 | 가장 지혜로운 자와 가장 어리석은 자
10 | 군자의 절개
11 | 군자의 주체성과 소인의 비주체성
12 | 군자는 다투지 않는다
13 | 말과 사람됨
14 | 군자가 진흙탕 싸움에 끼어들지 않는 이유
15 | 군자의 의로움과 소인의 이익
16 | 공자의 인품
17 | 공자의 네 가지 금기
18 | 배우는 것과 생각하는 것
19 | 말을 세련되게 하는 자의 결점
■ 한자로 철학하기 04 ┃ 공자는 왜 말 잘하는 자를 미워했나?
20 | 뜻을 세우는 것의 위대함
21 | 군자는 지혜롭고, 어질고, 용감하다
22 | 군자는 남을 원망하지 않는다
23 | 군자가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
24 | 공자가 꿈꾸는 세상
■ 한자로 철학하기 05 ┃ 덕치냐, 법치냐?
25 | 군자는 사람의 좋은 점을 이루게 한다
26 | 인을 완벽하게 체득한 경지
27 | 불손한 것과 고루한 것
28 | 살신성인의 진짜 의미
29 | 친구를 이끄는 법
30 | 말보다 실천이 앞서야 한다
31 | 진짜 잘못
32 | 유교는 이단을 싫어한다?
33 | 배움의 자세
34 | 지혜를 얻는 유일한 길
35 | 아는 것과 미치는 것
36 | 아름다움과 어짊, 지혜의 관계
37 | 어질면 악이 없어진다
38 | 인에 이르는 유일한 통로
39 | 집단의 논리에서 벗어나라
40 | 부모님에게 간하는 태도
41 | 공자가 천명과 인을 말하지 않는 이유
■ 한자로 철학하기 06 ┃ 어짊을 말하는 것의 힘겨움
42 | 군자의 대화 주제
43 | 군자가 행하는 방식
44 | 공자와 노자
45 | 정치는 백성들을 따르게 하는 것
■ 한자로 철학하기 07 ┃ 죽은 말을 오백금을 주고 산 이유
46 | 덕의 위력
47 | 백성을 사로잡는 방법
48 | 군자의 소임
■ 한자로 철학하기 08 ┃ 공자가 제자를 가르치는 법
49 | 아름다운 외양을 좋아하는 것
50 | 군자와 소인이 자신을 대하는 법
51 | 배우는 자의 목표
52 | 공자가 배움을 통해 추구한 것
53 | 인을 향한 간절한 마음
54 | 유자의 벼슬
55 | 공명심의 본질
56 | 지나침과 모자람을 모두 배제하다
■ 한자로 철학하기 09 ┃ 모자라면 채우고 넘치면 비우라
57 | 힘이 부족한 자는 없다
58 | 인간 지식의 한계를 넘어서야 도가 보인다
■ 한자로 철학하기 10 ┃ 공자와 노자가 인간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59 | 일상적인 노력의 중요성
60 | 법치와 덕치
61 | 효의 본질은 공경이다
62 | 사치보다는 인색함이 나은 이유
■ 한자로 철학하기 11 ┃ 죽음을 바라보는 태도
63 | 지극한 덕은 햇볕과 같다
64 | 예는 중용을 실천하는 것이다
65 | 공자의 근심은 어디를 향하는가
66 | 자비와 용서는 무조건 좋은 것인가?
67 | 군자의 자긍심
■ 한자로 철학하기 12 ┃ 어진 임금의 위력
68 | 공자의 일원론적 세계관
69 | 어짊을 실천하는 것이 자기 손해일까?
70 | 공자의 즐거움
71 | 공자와 안연
72 | 함께 길을 가는 것의 어려움
73 | 아랫사람을 따르게 하는 방법
74 | 선비의 즐거움
■ 한자로 철학하기 13 ┃ 애태우지 않으면 가르치지 않는다
75 | 공자의 위대함
76 | 군자가 곤궁에 처했을 때
77 |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이 군자는 아니다
78 | 진리는 언어를 넘어선다
79 | 믿음이 없으면 말은 통하지 않는다
80 | 용기는 의로움을 기준으로 한다
81 | 진정으로 남에게 베풀어야 할 것
82 | 군자는 근심과 두려움이 없다
83 | 공자가 꿈꾸는 세상
84 | 정치인의 일이 모두 정치는 아니다
85 | 세상의 모든 사람은 형제이다
86 | 공자의 교육관

참고문헌
부록
《논어》에 대해
《논어》의 시대적 배경
공자의 생애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