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조선왕실의 군사의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3362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조선왕실의 군사의례는 일반적인 군사 활동과는 구분되는 왕실 문화의 하나라고 평가할 수 있다. 군주이건 대통령이건 통치권자의 퍼레이드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한 흥미 요소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조선왕실의 군례가 다른 국가의례와 차별적인 것이 그런 재미 때문이기도 하다. 군례는...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조선왕실의 군사의례 - 이왕무 지음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7권. 정조시대 수원[화성] 원행에서 보여 주던 행행 행렬의 반차는 조선왕실 군례가 전형적으로 거행되던 퍼레이드였다. 정조가 창덕궁을 출발하여 도성-한강-수원에 이르는 여정에서 보여 주던 반차 구성은 군사 행렬로서 왕실 군례의 연출이었다.

목차

머리말·5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13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19

제2장 『국조오례의』 군례의 성립과 특징
1 군사의례의 기원과 의례화(儀禮化)·26
2 『고려사』와 『국조오례의』 군례의 비교·49
1)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53
2) 사환의(師還儀)·55
3) 구일월식의(救日月食儀)·58
4)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60
3 『세종실록』 오례의와 군례의 정착·65
1) 사우사단의(射于射壇儀)·74
2) 관사우사단의(觀射于射壇儀)·79
3) 대열의(大閱儀)·83
4) 강무의(講武儀)·87
5) 취각령(吹角令)·88
6) 구일식의(救日食儀)·90
7)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91
8) 향사의(鄕射儀) ·92

제3장 조선 전기 군사의례의 기능과 내용
1 사단의(射壇儀)의 내용과 기능·99
1) 왕실의 활쏘기 전통과 의례화·99
2) 사단의의 정착과 시행·106
3) 지방 활쏘기의 정착과 향사의(鄕射儀)·119
2 대열의(大閱儀)의 내용과 기능·127
3 강무의(講武儀)의 내용과 기능·156
1) 태조대 왕실 사냥 문화와 강무·157
2) 태종대 강무의 도입과 사냥 문화의 변화·161
3) 세종대 강무의 정착과 의례화·179
4) 세조대 이후 강무의 변화와 축소·187
4 구일식의(救日食儀)의 내용과 기능·208
5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의 내용과 기능·229

제4장 조선 후기 군사의례의 변화와 연속
1 대사례(大射禮)의 내용과 기능·245
1) 국왕의 문묘(文廟) 행행·245
2) 영조대 대사례 시행의 배경·252
3) 대사례의 시행과 내용·257
2 선로포의(宣露布儀)의 내용과 기능·263
3 친림구일식의(親臨救日食儀)의 내용과 기능·275

제5장 결론·285

참고문헌·290

찾아보기·294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