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껍데기 개화는 가라 : 한국 근대 유학 탐史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7232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조선 유학의 재인식을 목표로 하는 한국 근대 유학 안내서. ‘서양 근대와 전통 유학’이라는 낡은 프레임을 넘어서고자 ‘근대 유학’의 문제적 현장들을 찾았다. 유교 지식인 열여덟 사람의 인상적인 글을 선별하여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다시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그에 대한 감상문을 썼다. 조선의...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껍데기 개화는 가라 - 노관범 지음
조선 유학의 재인식을 목표로 하는 한국 근대 유학 안내서. ‘서양 근대와 전통 유학’이라는 낡은 프레임을 넘어서고자 ‘근대 유학’의 문제적 현장들을 찾았다. 유교 지식인 열여덟 사람의 인상적인 글을 선별하여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다시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그에 대한 감상문을 썼다.

목차

지은이의 말

1부 세상
1장 개화 세상의 허실
1. 껍데기 개화는 가라(정일우, 《율헌집》 〈개화〉)
2. 나는 수구, 세상에 저항한다(유영선, 《현곡집》 〈야사문답〉)
2장 사회 변화의 열망
3. 동학농민운동을 향해 묻는다(이관후, 《우재문집》 〈갑오문답〉)
4. 농부는 선비의 미래이다(공학원, 《도봉유집》 〈사민론〉)
3장 문물제도의 신설
5. 대한제국의 비원 (안종덕, 《석하집》 〈창덕궁비원중수미액영련탑본발〉)
6. 개성박물관을 소개한다 (손봉상, 《소산집》 〈박물관기〉)

2부 역사
4장 조선 말기의 기억
1. 조선의 말년사를 성찰한다(양재경, 《희암유고》 〈국조기사〉)
2. 광복의 역사를 만든 하늘의 뜻(김종가, 《입헌집》 〈서동감강목후〉)
5장 중국 혁명의 여파
3. 왕정인가, 공화정인가 (임한주, 《성헌집》 〈속산중문답〉)
4. 신해혁명, 다이쇼 정변, 고종의 밀지(임병찬, 《둔헌유고》 〈관견〉)
6장 한국 독립운동의 현장
5. 서간도와 홍콩, 광복군 임경업(박은식, 〈한교제임장군기〉)
6. 고종독살설과 유림의 독립운동(송주헌, 《삼호재집》 〈무기사변시효섭〉,〈조선유림독립운동사략〉)

3부 학문
7장 한문 서학서의 인식
1. 세계사를 성찰한다 (권상규, 《인암집》 〈서태서신사후〉)
2. 신학을 넓혀 구학을 돕는다(이병헌, 《이병헌전집》 〈제미국진사이가백씨신구학설후〉)
8장 해외 학문의 자각
3. 바다에서 비추어 유학이 밝아진다(송기식, 《해창문집》 〈해창설〉)
4. 일본 유학이란 무엇인가(장화식, 《복암집》 〈퇴도시변의〉)
9장 유학 전통과 현대
5. 유학의 도는 정덕인가 대덕인가(김윤식, 《운양집》 〈돈화론〉)
6. 가짜 신학문을 비판한다(이건방, 《난곡존고》 〈원론 하〉)

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