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이야기로 술술 읽히는) 한국사
  • ㆍ저자사항 한국문화연구회 편
  • ㆍ발행사항 서울 : 늘푸른소나무, 2021
  • ㆍ형태사항 391 p. : 삽화, 초상 ; 23 cm
  • ㆍISBN 9791196360283
  • ㆍ주제어/키워드 이야기 술술 읽히는 한국사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59781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야기로 술술 읽히는한국사』 는 〈고조선의 국가 성립〉, 〈고조선 여덟 가지 법률〉, 〈청동기 문화와 고인돌〉, 〈한나라와의 전쟁〉, 〈고조선의 주변 나라〉, 〈주몽의 탄생 신화〉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이야기로 술술 읽히는 한국사 - 한국문화연구회 엮음
고조선에서부터 6.25 한국 전쟁과 휴전 협정까지의 역사를 아우른다. 오천 년 역사의 수많은 사건들 중에서도 특히 사건 속 주인공을 중심으로 차근차근 이야기 하듯이 서술하고 있다.

목차

서문 · 4

고조선
단군 조선 · 13 | 고조선의 국가 성립 · 16 | 고조선 여덟 가지 법률 · 18 | 청동기 문화와 고인돌 · 20 | 한나라와의 전쟁 · 22 | 고조선의 주변 나라 · 24

고구려
주몽의 탄생 신화 · 29 | 압록강 가에 세워진 고구려 · 34 | 유리왕의 황조가 · 36 | 찢긴 자명고 · 38 | 소금 장사를 한 미천왕 · 41 | 광개토대왕 의 활약 · 43 | 막강한 국력의 장수왕 · 46 | 을지문덕과 살수대첩 · 48 | 안시성과 양만춘 장군 · 54 |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 · 56 | 연개소문 · 59 | 고구려의 멸망 · 62

백제
백제의 탄생 · 67 | 형제지간에서 원수로 변한 백제와 고구려 · 69 | 주지육림으로 나라를 망친 백제의 왕들 · 71 | 충신과 간신은 종이 한 장 차이 · 73 | 계백과 5천 결사대 · 78 | 삼국의 영토 전쟁 · 79 | 백제의 멸망 · 82

신라
박혁거세의 탄생 · 87 | 가야국 시조 김수로왕 · 90 | 신라의 태동 · 93 | 가배에서 유래된 한가위 · 95 | 화랑제도 · 97 | 백결 선생의 거문고 연주 · 100 | 우리나라 최초로 탄생한 여왕과 골품제 · 102 | 꿈 때문에 운명이 바뀐 두 자매 · 105 | 신라의 삼국 통일 · 110 | 신라 통치 제도 · 113 | 장 보고의 해상 왕국 · 115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 119 | 처용 부적의 비밀 · 121 | 불국사 중건과 석굴암을 완성한 김대성 · 123 | 그림자 없는 석가탑 · 125 | ‘황소의 난’을 평정한 최치원 · 127 | 삼국의 기틀 · 130 | 삼국시대의 불교 · 132 | 삼국시대의 유교 · 135 | 삼국시대의 무덤 · 138 | 통일신라의 문화와 향가 · 140

발해
발해를 세운 대조영 · 145 | 고구려를 이은 발해 · 148 | 발해의 문화 · 150 | 발해의 멸망 · 151

후고구려와 후백제
후고구려 탄생 · 155 | 아들의 죽음을 목격한 아버지의 심정 · 160 | 내조의 여왕 유화부인 · 164

고려
왕건과 외척들의 기싸움 · 171 | 말 한마디로 10만 대군 물리친 서희 · 175 | 고려의 안정기 · 179 | 협상으로 고려를 구한 충신 하공진 · 181 | 강감찬 장군의 귀주대첩 · 186 | 고려 최초 사립교육기관 구재학당 · 189 | 최초로 돈을 도입한 대각국사 의천 · 191 | 윤관이 쌓은 9성의 위력 · 194 | 꿈 풀이로 왕비를 맞은 임금 · 197 | 무능한 임금과 무신 반란의 시작 · 202 | 정중부의 패배와 경대승의 승리 · 206 | 허수아비 임금과 무신들의 권력 다툼 · 209 | 몽골군에 대항한 삼별초의 운명 · 212 | 피살되는 공민왕 · 215 | 무명옷 탄생의 비밀 · 222 | 고려의 사회적 생활 · 226 | 고려는 원의 사위 나라 · 231 | 고려의 멸망 · 233

조선
이성계의 화살 · 241 | 가시방석에 앉은 정종 임금 · 245 | 이성계와 무학 | 대사와의 인연 · 249 | 조선의 팔도강산 · 252 | 태종의 선견지명 · 256 |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260 | 세종대왕과 장영실 · 262 | 줄서기로 성공한 한명회 · 264 | 헛되지 않은 사육신의 죽음 · 268 | 귀신을 쫓아낸 남이 장군 · 274 | 임금을 망친 임사홍의 상소 · 278 | 사림들의 다툼 · 286 | 조선시대의 소박한 마음을 담은 시와 그림 · 289 | 반기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 291 | 7년 전쟁, 임진왜란 · 294 | 왜적을 물리친 명장 이순신의 죽음 · 297 | 왕실의 적통을 끊어버린 간신 · 299 | 청나라에 당한 인조 굴욕 · 304 | 북벌의 꿈을 이루지 못한 효종의 한 · 310 | 인현왕후와 장희빈 · 314 | 아들을 죽인 영조의 고집 · 316 | 조선시대의 실학사상 · 319 | 북학파 학자들 · 322 | 실학의 완성 다산 정약용 · 325 | 송충이를 씹어 먹은 효자임금 · 328 | 조선시대 풍속화 · 330 | 나이 어린 왕 순조 · 332 | 천주교의 박해 · 334 | 백성을 옥죄는 세금 · 338 | 홍경래의 난 · 342 | 조대비와 흥선군의 작품으로 만들어진 고종 · 346

근대
세계열강 속 조선의 운명 · 353 | 한성조약과 일본의 조선침략에 대한 초석 · 356 |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갑오농민전쟁 · 361 | 나라를 팔아먹은 오적들 · 365 | 일본군과 맞서 싸운 의병들 · 367 | 3.1 운동과 항일투쟁 단체 · 368 | 역사에 빛나는 청산리 전투의 승리 · 371 | 총칼 대신 글 로 일본에 대항한 우리 문학 · 375 | 우리의 해방과 미·소 중심의 냉전체제 · 378 | 대한민국 정부와 북한 정부수립 · 381 | 6.25전쟁과 휴전 협정 · 384

◈ 역사 연대표 · 386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