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예술
도서 한국근대스포츠의 발자취 = Traces of modern Korea sports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60390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그동안 미비하였던 한국근대스포츠사를 심도 있게 다룬 저서 본서는 저자의 전공분야인 한국근대스포츠사에 관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우리나라 근대스포츠사는 아직까지 그 연구가 미비하여 저자는 오랜 시간 발로 뛰며 다양하고도 많은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저자는 그렇게 수집했던 자료들을 정리해 꾸준하게 학술대회에서 발표뿐만 아니라 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논문의 주제는 주로 우리나라에 근대스포츠는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도입되었는지, 근대스포츠를 지도하기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은 누구였는지, 그리고 근대스포츠를 보급,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단체가 설립되었으며, 또한 근대스포츠 활동을 위해 어떤 시설이 건설되었는지 등이었다. 말 그대로 내용은 근대스포츠 도입, 근대스포츠 지도자, 근대스포츠 단체, 근대스포츠 시설이었으며 이 4영역은 저자의 라이프워크(Lifework)라고 할 수 있다. 본서는 지금까지 저자가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전체 4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각종 스포츠의 성격에 따라 구기, 투기, 동계, 기타 스포츠로 나누어 한국에서 그 도입이 어떻게 되었는가를 다루었다. 2장에서는 근대스포츠의 지도자의 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근대스포츠사의 주역 인물들을 다루었고, 3장에서는 근대스포츠의 단체, 4장에서는 근대스포츠 시설을 다루었다. 한국근대스포츠사에서 미비하게 다루어진 근대 스포츠 도입, 근대스포츠 지도자, 근대스포츠 단체, 근대스포츠 시설 등의 내용을 그림엽서, 메달, 트로피, 상장, 팸플릿, 조사서, 신문, 잡지 등 1차 사료를 활용했다는 사실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