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언어
도서 영어의 마음을 읽는 법 : 영어가 세계를 로딩하고 또 다른 세계로 접속하는 방식 = How to read the mind of English : the ways the English language loads and creates the world in our mind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1126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김성우와 함께 인지언어학으로 더 큰 세계와 마주하기 여기, 우리가 영어를 대하는 방식을 근본부터 뒤흔들 책이 출간되었다.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영어가 가진 광활하고 경이로운 세계를 들여다보는 《영어의 마음을 읽는 법》이다. 전통적인 문법은 품사를 중심으로 ‘말’에 집중한다. “문법은 문법”이고, “어휘는 어휘”라는 식으로 ‘언어에 대한 공부’를 ‘언어 안’에 가두는 데 그친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은 여기에 ‘인간’을 더한다. 책은 영어교사와 학습자들, 다양한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 언어교양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인지언어학에 접근할 수 있는 진입점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무엇보다 기존 학습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으로 영어를 바라보기를 바랐던 수많은 예비 학습자들의 해갈을 돕는 반갑고 귀한 한 권이 될 것이다. 그 무엇이건 로딩할 수 있고, 그 어떤 세계로건 접속할 수 있는 영어의 세계에 첨벙 빠져들 시간이다. 꾸준히 언어와 삶을 이어내는 고민을 붙잡아온 응용언어학자 김성우가 그간 시도된 바 없었던 영어의 마음을 읽어내는 진득하고도 기쁨 가득한 여정으로 독자를 이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영어의 마음을 읽는 법 - 김성우 지음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김성우와 함께 인지언어학으로 더 큰 세계와 마주하기. 꾸준히 언어와 삶을 이어내는 고민을 붙잡아온 응용언어학자 김성우가 그간 시도된 바 없었던 영어의 마음을 읽어내는 진득하고도 기쁨 가득한 여정으로 독자를 이끈다.

목차

프롤로그 | 영어의 마음을 읽는 여정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장 인지언어학, 언어학에 마음을 더하다
촘스키 언어학에서 인지언어학까지

2장 생각의 근간, 은유
언어는 은유로 가득합니다
관계는 여정, 논쟁은 전쟁
개념적 은유: 몇 가지 예시
개념적 은유 이론의 출발
은유, 세계 그리고 인지의 비밀
경제와 은유
마케팅과 은유
분노와 행복의 은유
은유와 도덕
공간의 은유와 권력
공간과 시간의 은유
이론의 은유적 성격
의학과 은유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유의 세계(1): 버스는 파업 중일까?
환유의 세계(2): 은유와 환유는 어떻게 다른가?
환유의 세계(3): 인간 인지의 역동성
환유의 세계(4): 언어는 지름길의 역할을 한다
환유의 세계(5): 문화마다 달라지는 환유

3장 문법 그리고 품사에 숨겨진 비밀들
시간과 시제, 세계와 언어
명사와 동사의 결정적 차이
언어가 그려내는 세계 그리고 해석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명사를 의심해야 할 이유
명사화 그리고 신화
“become a thing”, 세계와 개념의 변화 그리고 언어적 창의성
modal과 인간 그리고 세계
블렌딩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의 기원: 가정법 새롭게 보기
블렌딩을 활용한 창조적 사고 키우기
기능어, 내용어 그리고 전치사
전치사의 놀라운 비밀
전치사, 기본의미와 확장의미로 공략하기
이미지를 활용한 전치사 학습
관계대명사와 개념화

4장 영어 관사의 원리 이해하기
a와 the의 어원 그리고 개념적 특성
관사의 종류는 세 가지다!
관사는 맥락과 개념화에 따라 결정된다
꾸미는 말이 있다고 해서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same과 following 앞에는 왜 ‘the’가 붙을까?
무관사에 대해 알아보자
변화무쌍, 관사는 움직이는 거야
헷갈리는 a와 an의 구별
잘못된 관사 상식 깨기: ‘외동’과 식사명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관사공부
미묘하고 애매한 관사들
관사로 철학하기
관사와 명사 함께 기억하기

5장 단어의 의미와 문장에 대한 새로운 시각
문법의 상징적 본질: 문법에도 뜻이 있다!
문법과 어휘는 한 몸: 구문으로 보는 문법+어휘
이중타동구문의 의미는 어디에서 오는가: 동사 fax의 사례
구문은 어떻게 습득되는가
인간의 언어 습득을 설명하는 열쇠, 용법기반학습
언어 습득을 위한 다섯 가지 사고 메커니즘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단어의 맥락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접근지점으로서의 단어
맥락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활동: 맥락쓰기
십자말풀이는 왜 어려운 걸까?
어떤 단어는 왜 그렇게 뜻이 많을까?: 다의어와 사회적 정체성
틀 의미론 소개(1): 단어는 세계를 짊어지고 있다
틀 의미론 소개(2): 단어를 모두 알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있을까?

6장 영어와 생각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인지문법의 세계(1): 언어는 세계를 도려내어 개념으로 만든다
인지문법의 세계(2): ‘범인’을 목격자로 만드는 언어?
인지문법의 세계(3): 언어는 어떻게 ‘컨스트럭트’를 생산하는가
문법을 보는 또 다른 방법(1): 문장은 사물과 과정을 엮어낸다
문법을 보는 또 다른 방법(2): 개념핵과 배경이 모여 문장이 확장된다
언어의 자의성과 동기화
언어와 사고(1): 우리의 사고는 언어에 의해 결정되는가?
언어와 사고(2): 은유는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언어와 사고(3): “Excuse me”의 인지언어학적 이해
언어와 사고(4): 제스처가 드러내는 언어 이상의 의미
‘장도리’로 본 개념적 혼성
의미의 문법과 정신공간
개념적 혼성의 구조: 은유를 넘어서
체화된 인지와 단어의 의미
체화된 시뮬레이션 가설(1): 말의 뜻은 사전에 있을까?
체화된 시뮬레이션 가설(2): 말뜻은 말 속에 있지 않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가설(3): 몸의 기억으로 말을 이해하다

에필로그 | 깊고 차분히 언어의 마음을 읽어내는 삶에 대하여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