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종교
도서 힌두 바로보기 : 베다, 힌두교, 힌두뜨바
  • ㆍ저자사항 꿈꿈 로이,
  • ㆍ발행사항 서울 : Hu: ine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2019
  • ㆍ형태사항 135 p. : 삽화, 초상 ; 21 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Kumkum Roy, Kunal Chakrabarti, Tanika Sarkar HUINE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의 어학도서, 사회과학도서, 지역학도서 Sub Brand임 색인 수록
  • ㆍISBN 9791159015991:
  • ㆍ주제어/키워드 힌두 바로보기 힌두교 힌두뜨바 인도 대전환 총서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0833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베다와 관련한 대중의 인식은 어쩌다 알게 되거나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것에 기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베다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그것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매우 극소수의 사람만이 본래 산스크리트로 쓰인 혹은 번역된 베다를 실제로 읽어 본 경험이 있고 그로 인해 베다의 내용과 베다가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책은 베다를 읽어 본 적이 없지만 베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거나 베다를 읽을 수 없지만 여전히 베다에 관한 호기심이 가득한 사람들을 위해 쓰였다. 베다는 인도 문화유산의 근간이라 여겨져 왔고 베다를 작성한 아리아인의 찬가와 담론이 포함되어 그들의 사상을 자세하게 살펴 볼 수 있는 문헌이라 묘사되어 왔다. 더 나아가 베다는 인도 역사 속에 드러나는 모든 힌두 의례와 믿음의 근원이라 주장되어 왔다. 최근 들어 우리는 힌두뜨바라는 이름 아래 힌두가 하나의 나라이고 인도에 본래부터 거주했던 힌두만이 힌두라는 나라의 일등 국민이라고 주장하는 실질적 수준의 정치적 선동을 경험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역사가들이 계속해서 도전해왔던 인도 역사의 재현(現再)이다. 역사가들은 과거에 대한 이러한 진술과 그것의 현재와의 관계에 대해서 진위 여부를 면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자신이 전공한 분야에 대해 각각의 에세이를 쓴 이 책의 세 저자이자 역사가들은 바로 그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려 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힌두 바로보기 - 꿈꿈 로이 외 지음, 강명남 옮김
인도의 대전환 총서 8권. 베다를 읽어 본 적이 없지만 베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거나 베다를 읽을 수 없지만 여전히 베다에 관한 호기심이 가득한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목차

[베다 시대를 찾아서]

1. 베다란 정확히 무엇인가? - 019
2. 후기 베다 문학 - 024
(1) 제의서(브라흐마나), 삼림서(아라냐까), 사색서(우빠니샤드)
(2) 수뜨라(經, Sutra)
3. 누가 베다를 지었는가? - 029
4. 베다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 032
5. 베다의 언어 - 035
6. 베다는 사료史料로 쓰일 수 있는가? - 036
(1) 여전히 남은 문제
7. 하랍빠 문명은 얼마나 베다와 비슷한가? - 040
(1) 문자의 문제
(2) 사라스와띠 미스터리
(3) 말馬의 흔적
8. 하랍빠 문명과 베다 전통 사이의 유사점 - 047
(1) 하랍빠 종교
(2) 베다 문헌에 나타난 사회
1) 아리아인은 누구인가?
2) 여성과 베다 전통
3) 바르나에 대하여
4) 베다 전통에는 부족사회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는가?
9. 인도의 종교 전통은 얼마나 베다적인가? - 064
(1) 주요한 신들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2) 희생제의의 운명
10. 베다의 주인은 누구인가? - 068
11. 베다와 일치시키려는 노력에 대한 도전 - 070
(1) 다시 베다로 돌아가야 하는가?


[스므리띠, 뿌라나, 힌두교]


1. 베다 종교는 왜 점차적으로 쇠퇴했는가? - 073
2. 우빠니샤드의 물음은 무엇이었나? - 074
3. 새로운 종교의 탄생 - 076
(1) 불교
4. 브라흐만 전통의 부활 - 079
(1) 굽따 제국의 성립
(2) 브라흐만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3) 뿌라나 종교의 등장
(4) 베다의 이용
5. 뿌라나 종교는 베다 종교와 같은가? - 089
6. 힌두교의 특징 - 099
7. 힌두는 누구인가? - 104
(1) 힌두의 기원
(2) 힌두뜨바 정치


[힌두뜨바]


1. 힌두뜨바 정치를 왜 살펴봐야 하는가? - 109
2. 힌두뜨바 단체가 힌두를 선동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 110
(1) 힌두 민족주의와 힌두 종교 이데올로기
(2) 힌두교와 힌두뜨바
3. 어떤 용어로 힌두뜨바를 설명할 수 있는가? - 116
(1) 힌두뜨바와 힌두 부흥운동
4. 종교적 정체성, 커뮤니티 정체성, 커뮤널리즘 - 118
5. 적대감을 만드는 이유와 요소 - 120
(1) 사회 개혁 운동
6. 커뮤널리즘에서 대중 선동 방법 - 123
7. 힌두뜨바의 기원 - 124
(1) 힌두뜨바와 애국심
(2) 힌두 여신으로서 조국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