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소씨문견록. 하
  • ㆍ저자사항 소백온 저;
  • ㆍ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2022
  • ㆍ형태사항 367 p.: 지도 ; 23 cm
  • ㆍ총서사항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 759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邵伯溫 권말부록: 1. 「소백온전邵伯溫傳」(『송사宋史』 권433 「유림전儒林傳」3) 등 색인 수록
  • ㆍISBN 9791166841101(하)
  • ㆍ주제어/키워드 소씨문견록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중국사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62175 v.하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소씨문견록』은 북송의 학자 소백온이 남송 초 고종(高宗) 소흥(紹興) 2년(1132)에 찬한 역사쇄문류(歷史?聞類) 필기문헌이다. 총 20권에 225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으며 북송의 건국부터 정강(靖康)의 난으로 나라가 망하고 남도(南渡)하기까지의 역사고사를 기록했는데, 내용은 북송의 정치, 군사, 외교, 전장제도, 풍속, 지리, 사회생활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권1부터 권16까지는 주로 송 초 이후의 크고 작은 정치적 사건과 일화를 기록했고, 권17은 대부분 잡사(雜事)를 기록했으며, 권18부터 권20까지는 주로 부친 소옹(邵雍)의 언행을 기록했다. 『소씨문견록』의 문헌적 가치는 다음의 몇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정사(正史)에서 기술한 북송 역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 둘째, 북송 문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셋째, 북송의 전장제도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 밖에 이 책에 보이는 복식(服飾), 도교와 불교의 종교활동, 참위(讖緯), 낙양의 놀이문화 등과 관련된 기술은 북송의 사회문화를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