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순수과학
도서 친애하는 인간에게 물고기 올림 : 물고기 박사 황선도의 현대판 자산어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2801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생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바다생물 토크 콘서트 친애하는 인간에게, 물고기 올림 이 책의 저자인 황선도 박사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관장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서 일하고 있다. 밤낮 물고기만 생각하다보니 이제 물고기의 목소리가 들릴 지경에 이르렀다. 물고기에게 울음소리가 있냐고? 사실 물고기는 생물 중에서도 특히 조용한 부류다. 사는 환경이 너무 달라서일까, 우리는 물고기의 ‘울음’을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그러나 물고기도 운다. 우리 귀에 들리지는 않을지언정 온몸으로 운다. 우리가 들어야만 할 간절한 울음소리로, 목 놓아 울고 있다. 물고기는 말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약동하는 물고기의 몸짓에서 짐짓 고개를 돌리기 때문이다. 우리가 마주해야할 물고기와 바다, 자연과 환경이라고 하는 ‘책임’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가 모른 체 하고 있는 사이에 하구에는 둑이 들어서고, 갯벌은 메워졌다. 물고기들은 살아갈 터전을 잃고, 우리는 그들 물고기를 잃는다. 한 시인은 이렇게 노래했다. “물고기의 울음을 들으셨나요/물고기도 웁니다/서해를 가득 채운 조기 떼가 연평도로 북상하면서/조기의 울음 소리 들리면/섬에는 파시가 섰죠…(유자효, [섬] 중에서).” 우리는 물고기들의 몸짓 언어를 지긋이 들여다봄으로써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수백 년의 역사를 통해 우리 삶 속에 새겨진 그들의 발자취를 추적하는 것은 단순히 식문화를 넘어서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선명하게 드러낸다. 그리고 이 지난한 작업을 뒷받침하는 것이 저자인 황선도 박사의 오랜 경험과 연구다. 20년 이상을 우리나라 해양생물 연구에만 매진한 저자가 풀어놓는 이야기보따리는 놀랍도록 풍성하다. 『자산어보』에 기록된 조선시대의 식문화와 물고기들의 생태에서부터 최신의 연구 성과에 이르기까지, 생태학적 정보에서부터 해양생물에 얽힌 각종 재미난 얘기까지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저자의 이야기는 도무지 마를 기미가 없다. 화수분 마냥 샘솟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보면 자연스레 깨닫게 된다. 우리의 삶에 해양생물들의 존재가 깊이 뿌리박혀 있음을, 그리고 앞으로도 자연과의 공존을 위해서 그들의 삶에서 눈을 돌려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이다. 저자가 일하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로고에는 파도, 즉 바다와 해조류, 물고기 그리고 사람이 그려져 있다. 바다와 해양생물을 알기 위해서는 이 모든 것들을 알아야 한다. 모든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이루고 있음을, 그리고 그 한 축인 인간에게 지워진 막대한 책임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저자가 이 책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기도 하다. 저자가 바다와 물고기를 통해서 읽어낸, 물고기가 인간에게 보내는 진심 어린 메시지인 것이다. 이제는 우리 인간이 거기에 대한 답장을 쓸 때가 됐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