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자기와 자기실현 : 하나의 경지, 하나가 되는 길
  • ㆍ저자사항 이부영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한길사, 2021
  • ㆍ형태사항 357 p.: 삽화; 23 cm
  • ㆍ총서사항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3
  • ㆍISBN 9788935663606
  • ㆍ주제어/키워드 자기 자기실현 하나 경지 분석심리학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2936 v.3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분석심리학의 대가 이부영의 완전한 ‘자기’를 찾기 위한 위대한 통찰!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가운데 마지막 책이다. 앞선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에서 우리는 무의식의 의식화 방법을 탐구했다. 그 마지막 여정이 바로『자기와 자기실현』이다. 이 책에서는 분석심리학의 최종 목표인 ‘자기실현’(개성화)을 통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자아’와 ‘자기’를 구별한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이고,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을 합친 전체정신의 중심이다. ‘자기실현’은 우리 모두가 그리스도나 붓다와 같은 성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엄숙하고 심각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평범한 행복’을 구현하는 과정인 것이다. 융의 분석심리학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무의식의 역할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은 억압된 성적 욕구이며 그 자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그러나 융은 ‘무의식은 인간의식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창조의 샘’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인간은 누구나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인생에서 겪는 느닷없는 고통과 정신적 위기는 자기실현의 값진 기회다. 행복은 자아가 그런 위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렸다. 융은 인생의 의미는 오직 그 사람 안에 있다고 말했다. 인생의 모든 열쇠도 자신 안에 있다. 바로 무의식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