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아니마와 아니무스 :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 ㆍ저자사항 이부영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한길사, 2021
  • ㆍ형태사항 370 p.: 삽화, 초상; 24 cm
  • ㆍ총서사항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Rhi Bou-yong's analytical psychology trilogy; 2
  • ㆍISBN 9788935663590
  • ㆍ주제어/키워드 아니마 아니무스 남성 여성 분석심리학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2935 v.2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자아의식을 진정한 ‘자기’에게로 인도하는 매개자, 아니마 ㆍ 아니무스를 만나다! 한국 분석심리학의 대가 이부영이 융 분석심리학의 최종 목표인 ‘자기실현’(개성화)의 과정을 집대성했다.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가운데 두 번째 책으로 ‘심혼’이라 불리는 ‘아니마 ㆍ 아니무스’에 대해 이야기한다. 심혼은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그림자’ 다음으로 만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외적 인격인 페르조나에 대응하는 인격으로서 무의식에 존재하는 ‘내적 인격’이다. 내적 인격은 자아와 내면세계를 연결하는 징검다리이며, 나와 무의식의 더 깊은 층을 이어주는 매개자다. 주로 아니마는 ‘남성 속의 여성’, 아니무스는 ‘여성 속의 남성’으로 표현된다. 자아를 페르조나와 동일시하는 사람은 무의식의 그림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결국 자기도 모르게 페르조나와 심혼까지 동일시하게 된다. 그럴 때 우리는 이성에게 자신의 심혼을 투사해 강렬한 사랑이나 증오에 빠지게 된다. 상대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 관계는 실패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심혼의 다양성을 통찰하는 작업은 나와 내 자신,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 책에서 저자 이부영은 융의 아니마 ㆍ 아니무스 이론에 대해 자세히 살피고, 융의 제자였던 마리 루이제 폰 프란츠, 엠마 융, 토니 볼프의 이론까지 다룬다. 무엇보다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문화에 나타난 아니마 ㆍ 아니무스상을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논어』와 『도덕경』 등 동양의 전통 사상에 담긴 여성상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동서양 심리학의 가교 역할을 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