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현직 고등학교 선생님들이 직접 고른) 생기부 필독서 100
  • ㆍ저자사항 주경아 외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센시오, 2023
  • ㆍ형태사항 391 p.: 천연색삽화; 20 cm
  • ㆍ총서사항 필독서 시리즈; 05
  • ㆍISBN 9791166570957
  • ㆍ주제어/키워드 현직 100 필독 생기부 고른 직접 선생님들 고등학교
  • ㆍ소장기관 채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CKM000008026 채움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독서로 채워나가는 완벽한 생기부 시나리오! 이를 위해 과목별 현직 교사들이 뭉쳤다 확 바뀐 2024학년도 대입전형에서 핵심으로 떠오른 ‘생기부(생활기록부)’를 ‘독서’로 완벽하게 채우는 방법을 정리한 책 〈생기부 필독서 100〉이 출간됐다. 인문사회, 과학, 수학 계열별로 총 100권을 선정, 책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그 책으로 후속 활동하는 방법과 생기부 사례를 담은 책이다. 저자는 과학고, 자공고, 일반고 학생들을 성공적인 입시로 이끌었던 12~15년 차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이다. 2024 대입전형부터는 자기소개서, 자율동아리, 수상 경력 등이 대입 자료에서 모두 빠지면서 생기부가 곧 자기소개서이자 교사 추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각 과목 교사가 수업과 수행평가 등에서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는 ‘세특(세부능력 특기사항)’은 생기부의 핵심축으로 꼽힌다. 이 책의 저자들은 생기부의 세특에서 학생의 역량과 노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 ‘독서를 통한 확장'이라고 입을 모은다. 왜냐하면 교과 수업에서 호기심을 품고 관련 책을 찾아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자기주도적 탐구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최상위 대학과 입학사정관이 원하는 생기부 형태이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독서가 여전히 생기부의 핵심키워드라며 생기부 전체 영역에서 한층 깊이 있는 독서 후 활동으로 녹여내는 것이 공략 포인트라는 것이다. 필독서 100권은 서울대 필독서, 베스트셀러, 교과 교사들이 추천한 책, 교실에서 학생들이 많이 읽고 반응이 좋았던 책 중에서 엄선했다. 그리고 독서 후 창의성과 역량을 보여줄 구체적인 후속 심화 활동을 책마다 일일이 제시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진행했던, 주제발표활동과 과제연구, 관련 학과 진로탐색 활동의 사례도 같이 소개했다. 당장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선택조차 어려운 학생부터, 상당한 독서량을 갖추었으나 심화 독후 활동으로 연결하는 아이디어를 고민하는 학생까지. 이 책에서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독서로 챙기는 생기부 사례〉 ㆍ 활용 도서:《걱정 많은 어른들을 위한 화학 이야기》 1. 화학제품에 관한 상식을 알아보는 질문들을 통해 학급 내 화학제품에 대한 편견과 상식 수준을 파악한다. 2. 제한 시간 동안 자음으로 시작하는 물건을 찾는 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끈다. 이후 화학제품을 선정해 ‘교실 속 화학제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3. MSDS와 유해화학물질 표시 안내에 대해 설명한 후 MSDS 검색을 통해 화학제품 속 화학 물질의 용도, 위험성, 응급 조치 등에 대해 알아보는 탐구 활동을 진행한다. 4. 시간이 허락한다면 각 조별로 화학제품 속 화학 물질에 대해 소개하는 발표를 진행하도록 한다. 과세특 예시┃‘화학제품을 올바로 사용하는 법’ 주제탐구 발표 활동 ‘걱정 많은 어른들을 위한 화학 이야기(윤정인)’를 읽고 화학제품이 우리에게 주는 편의성에 대해 소개하고, 화학물질의 특징과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 화학제품에 관해 우리가 갖고 있는 생각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질문을 통해 화학제품 상식 테스트를 진행하여 화학제품에 대한 편견을 알아보고, 발표 자료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냄. 화학제품이 독성과 유효성이라는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인상 깊었음을 나누고, 화학 물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안전한 화학제품 사용법을 숙지해야 함을 강조함. (…)이 책에서 얻은 정보를 직접 실험 활동에 적용하여, 실험에 사용하는 화학 시료들의 MSDS를 검색해보는 활동을 주도함. MSDS에 대한 설명과 MSDS 검색 방법, 유해 화학물질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함. 이 활동을 통해 다른 친구들도 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발생 가능한 사고, 위험한 상황이 생겼을 때의 응급 대처, 보관 및 폐기 방법에 대해 직접 알아보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실험실을 만드는 데 일조함. -301쪽 ㆍ 활용 도서:《아주 작은 습관의 힘》 창체·자율활동 특기사항 예시┃책에서 읽은 내용을 실천하기 위해 학교, 학급 차원에서 행사 기획하기 ‘아주 작은 습관의 힘(제임스 클리어)’을 읽고 난 후 습관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된 것을 계기로, 이를 실천할 방법을 고민함. 이후 학급 친구들과 ‘습관 만들기 프로젝트’를 직접 계획하고 실행함. 함께 습관을 만들어나갈 친구들을 모집한 뒤, 단체 대화방을 만들어 자신이 실천할 내용을 공언하고, 이를 매일 수행한 사진을 찍어 인증하도록 함. 친구들을 독려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리더십을 보여주었으며, 이 활동을 통해 학급 친구들의 생활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다는 평가를 받음. -219쪽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