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내 삶의 예쁜 종아리: 황인숙 시집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L0000004725 [글담]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렇게 눈이 와서 아름다운데 이렇게 눈이 와서 부를 수 없네” 끝없이 묻고 헤아리는 안부 저문 길 사이로 또렷이 드러나는 시의 실루엣 감각과 윤리의 향연, 황인숙 아홉번째 시집 출간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일찍이 완미한 시 세계를 펼쳐 보이며 동서문학상(1999), 김수영문학상(2004), 형평문학상(2017), 현대문학상(2018)을 수상한 바 있는 황인숙 시인의 아홉번째 시집 『내 삶의 예쁜 종아리』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직전의 소시집 『아무 날이나 저녁때』(현대문학, 2019) 이후 3년 만이다. 특유의 재바른 감각과 절제된 파토스가 어우러진 64편의 시를 묶었다. 현실에 얽매이지 않는 전도적 상상력(오규원),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의 대립(김현), 독특한 탄력과 비상의 언어(정과리), 일상의 신실함과 삶의 장면들이 포개어지며 울려내는 고결함의 체험(조재룡)으로 일컬어진 황인숙의 시 세계는 오늘에 이르러 죽음과 맞닿은 ‘상실’을 예감하고 질문하며, 그 응답 이전에 자리한 기나긴 공허를 보듬는다. 시인은 다만 앞선 부재를 기억함으로써, 행동하고 나아감으로써, 이 세계의 그리 낯설지 않은 슬픔을 버티며 정답고도 소박한 웃음을 한 움큼 내놓는다. 죽음을 한 바퀴 둘러본 듯한 이의 덤덤한 어조로 풀어낸 시편들은 일상의 명암을 가로지르며 고단한 사람들이 움직이는 마을 어귀로 길을 낸다. “황인숙의 시적 화자들은 약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약자의 귀로 세상을 듣는다”(고종석). 마치 그곳에 영영 사라지지 않을 말들이 놓인 듯이. “그의 시들은 ‘스테레오타입’이 아니라 ‘스테레오’다. 틀에 박힌 것들이 아니라, 입체음향들이거나 입체사진들이다. 그리고 황인숙은 그 입체적 시 세계를 ‘약한 것들’ ‘사라져가는 것들’과 함께 끈기 있게 일구고 다져왔다. 입체는 고스란히 되풀이되기는커녕 끊임없이 새 얼굴을 보여준다. 그래서 황인숙의 시들은 익숙하면서도 낯설다.”-고종석, 해설 「밤에 사는 사람들」에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