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말 놓을 용기 : 관계와 문화를 바꾸는 실전 평어 모험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7715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말에는 이제 반말과 존댓말이 있고, 또한 평어가 있다.” 평어는 한국어를 다른 것이 아닌, 바로 그 한국어로 극복한다. 한국어의 내부에서 한국어를 뛰어넘는다. -김진해(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여러분도 평어를 통해 새로운 우정을 경험하길 바란다. -윤여경(그래픽디자이너, 디자인교육자) 나이와 경력에 따른 수많은 호칭과 직함이 존재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수직적 관계 구조를 타파하고 수평적 소통을 이뤄 보려는 숱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직함 대신 영어 이름을 부르는 기업 문화가 유행하고, ‘착한 반말’이 몇몇 온라인 커뮤니티 언어로 활용되는 현상은 한국 사회에 수평적 소통을 향한 열망이 새싹이 되어 피어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민음사에서 출간된 철학자 이성민의 책 『말 놓을 용기: 관계와 문화를 바꾸는 실전 평어 모험』은 한국 사회에 ‘평어’라는 또 하나의 튼튼한 새싹을 내어놓는다. 평어는 ‘이름 호칭+반말’의 형태를 갖춘 상호 존중의 언어다. 저자 이성민이 ‘디학’(을지로 소재의 디자인 대안 학교)에서 처음 시도했던 평어 사용은 여러 학습 공동체, 기업, 학교, 매체 등의 관심 속에서 점차 바깥으로 퍼져 나갔다. 민음사는 잡지 《릿터》를 경유한 ‘회사에서 평어 쓰기’를 지속해 나가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의 김진해 교수는 ‘강의실에서 평어 쓰기’를 시도해 ‘스브스뉴스’ 등 매체에 소개되며 화제를 모았다. 인터뷰 미디어 「요즘 것들의 사생활」의 이혜민 디렉터는 삶 자체에 집중하는 인터뷰를 위해 ‘평어로 인터뷰하기’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여러 독서 모임, 학습 공동체 등에서 평어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세공되고 개발되며 구체적인 현재를 갖게 되었다. 평어의 탄생과 실천, 그리고 평어가 가져다줄 새로운 미래에 대한 고찰을 담은 『말 놓을 용기』는 한국말의 현재에 깃든 근본적인 결핍을 마주하게 하는 진단서이자, 한국말의 다음 단계를 가늠해 볼 수 있게 하는 훌륭한 안내서다. 평어가 회사, 학교, 매체, 모임 등 다양한 현장에서 시도될수록 ‘한국말의 다음 단계’는 뚜렷한 형상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이다. 우리는 회사에서 평어로 대화하는 장면 속에 놓여 볼 수도, 나이 차가 많이 나는 상대와 이름을 부르고 눈을 맞추며 소통해 볼 수도, 평어로부터 피어날 새로운 농담을 주고받아 볼 수도, 그리고 평어로부터 개발된 은유를 갖춘 문학을 쓰거나 읽어 볼 수도 있다. 이렇듯 제힘으로 만들어 낸 언어와 사회의 미래는 더욱 정답고도 풍성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