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대한제국 수난사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7955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지금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날의 기록! 이범석은 충청도 아산에서 철종 때(1862) 출생하였고 양근군수를 지냈으며, 그 후에는 낙향하여 후진 양성과 기록을 하면서 보냈는데 사망 연도에 대한 기록은 없다. 〈경란록〉은 이범석이 태어난 해부터 살던 기간 동안 사건들을 기록하고 평가한 역사서이다. 이범석은 직접 경험한 사건들을 들려주는 것같이 생생하게 기록했다. 기록 중에는 이범석이 잘못 알고 기록한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며 잘못 알고 기록한 부분은 추가적인 설명을 보충했다. 〈경란록〉 원본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해석본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에 올려져 있다. 이범석은 〈경란록〉에서 60여 년을 1년 단위로 하여 마치 신문 기사를 쓰듯 핵심적인 사실들을 기록했고, 사실에 대한 논점들을 ‘담평’으로 기록했다. 저자는 〈경란록〉을 보고 나서 책을 낼 용기를 가졌다. - 본문 중에서 〈경란록〉은 이범석이 태어난 해부터 살던 기간 동안 사건들을 기록하고 평가한 역사서이다. 〈경란록〉을 쓴 이범석은 가장 혼란한 시대에 태어나 가장 혼란한 시대를 살다가 가장 혼란한 시대에 늙었다고 하면서 60여 년을 기록으로 남겼다. 그때의 대한제국과 100여 년이 지난 지금의 대한민국은 위상이 크게 달라졌고 거기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도 바뀌었다. 그렇지만 헬조선이라 불리고, 빈부격차는 확대되고, 출산율은 최저이고, 자살률은 최고인 시대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4대 강국에 둘러싸인 대한민국은 동북아평화가 늘 불안정한 가운데에 있다. 16세기 말 왜란을 〈징비록〉으로 잊지 않고 있는 것처럼, 19세기 말 대한제국의 멸망을 〈경란록〉으로 잊지 않기를 바란다. 21세기 기술패권 시대에도 대한민국의 길은 부국강병에 있고 대한민국이 동북아평화를 지키는 동양의 패주(霸主)가 되어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해야 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모든 기록을 담아내고 있다. 1863년 민란 시기부터 쇄국 시기, 개항 시기, 경제 침탈 시기, 청일 대립 시기, 러일 대립 시기, 국권 침탈 시기를 거쳐 1910년 이후인 일제 강점 시기까지 객관적인 사료를 바탕으로 정밀하게 그려내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