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신비한 진주여행 : 진주비빔밥을 찾아서
  • ㆍ저자사항 물개삼촌;
  • ㆍ발행사항 진주 : 실천, 2022
  • ㆍ형태사항 37 p. : 천연색삽화 ; 26 cm
  • ㆍ일반노트 장서영은 "프란체스카"의 본명임
  • ㆍISBN 9791197648984:
  • ㆍ이용대상자 초등학생
  • ㆍ주제어/키워드 신비 진주여행 진주비빔밥 실천 동화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39005 연암어린이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비빔밥은 채식을 많이 하는 우리 민족 특유의 음식문화 중에서 간편하면서도 풍부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식사류 중의 하나다. 삼국시대의 문헌에 의하면 진주지방에 비빔밥의 옛 이름인 효채(淆菜)밥이 유명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후 삼국시대에는 채혼(菜混) 밥으로 기록된 것으로 봐서 진주비빔밥의 역사는 실로 장구하다. 특히 진주비빔밥은 그 맛과 영양성이 뛰어나 조선 태종 때에는 한양의 정승들이 비빔밥을 먹으러 진주에 왔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다. 진주비빔밥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쌀에 사골국을 부어 기름진 밥을 짓고 그 위에 오색 나물과 고명을 화려하게 얹어 보탕국, 선짓국과 함께 먹었던 음식으로 예로부터 꽃밥, 화반 또는 칠보화반(七寶花飯)이라 불렀다. 진주비빔밥은 채소와 육류, 그리고 유지류의 배합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한 끼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영양식이며 옛날부터 일품요리로 정평이 나 있는 음식이다. 특히 임진왜란 때 진주성 안의 군사들에게 영양을 보충시키기 위하여 소를 잡고 싱싱한 육회를 얹어서 먹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전투 양식으로도 인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역사적인 진주지역의 토속음식을 널리 알리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진주비빔밥의 특성을 쉽게 이해하도록 『실천동화시선 01』로 이 동화책을 펴낸다. 이 책을 통하여 오랜 역사와 전통의 진주비빔밥이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