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현대국제정치와 한반도는 어디로 가는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71567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 책은 2017년에 대한민국 학술원총서의 하나로 초판된 것을 그 후에 나왔던 새로운 연구 및 자료를 활용해 수정해 대폭 보완한 것이다. 특히 2022년 2월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진 후 급변한 강대국정치의 향방을 분석하기 위해 책의 내용을 시간적으로 갱신했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현대국제정치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서술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전쟁과 평화, 세계화와 금융위기, 강대국정치 및 지구적 문제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를 분석했다.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이 유럽에서 현대국제정치를 형성했던 과정과 19세기와 20세기에 영국과 미국이 어떻게 패권국이 되었는지를 고찰했다. 특히 제3장에서는 이 책 전체의 흐름을 개관했다. 여기서 21세기 초에 자유주의국제질서가 강대국정치로 전환한 뒤 미국과 중국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패권경쟁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포괄적으로 서술했다. 제2부에서는 동아시아시아에서 변천해 온 국제질서 및 경제질서의 역사를 간략하게 서술한 뒤 중국과 미국이 전개하는 패권경쟁을 설명했다. 여기서 필자는 과연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패권국이 될 것인지, 경제적으로 동아시아의 기적이 계속될 것인지, 미국과 중국은 동아시아에서 대만문제로 전쟁을 할 것인지 또는 동반자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동아시아 공동체는 가능할 것인지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제3부에서는 한반도의 역사 및 지정학, 남북한관계, 북한핵문제 및 한국외교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깊이 분석했다. 오늘의 한반도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최종결론에서는 21세기국제정치와 동아시아에서 한반도가 당면하고 있는 현주소와 한국이 앞으로 지향해 가야 할 진로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이 제3부에서는 필자가 평소에 가졌던 견해를 솔직히 그대로 반영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