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
  • ㆍ저자사항 성백광 외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문학세계사, 2024
  • ㆍ형태사항 237 p.: 천연색삽화; 19 cm
  • ㆍISBN 9791193001448:
  • ㆍ주제어/키워드 시집 어르신 짧은시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41924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 수상 작품집 봄날의 재치를 담은 공감과 소통의 시편 (사)한국시인협회와 (사)대한노인회가 공동 주최한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에서 발굴된 재기 넘치는 시들을 엮은 시집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이 출간됐습니다.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 각지에서 만 60세 이상의 시니어들이 5,800여 편의 작품을 응모하였으며, 예심을 거친 100편의 작품에 대한 본심(심사위원:김종해, 나태주, 유자효)을 거쳐 수상자를 선정하였습니다. 본심에 올라간 작품들은 모두 투고자의 이름과 나이, 지역을 가린 채 작품만 볼 수 있는 블라인드 심사로 이뤄졌습니다. 심사위원들은 특별한 표현이나 주제를 다룬 작품보다는 일상적인 내용과 표현을 담은 시 작품을 고르려고 노력했습니다. 심사위원인 김종해 시인은 “작품들을 분석해 보면, 크게 일상의 소중함, 가족과의 관계,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 유머와 재치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60세부터 98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라며 “나이가 단지 수치에 불과함을 증명하며, 삶의 가장 진실한 순간들을 원숙한 표현으로 포착한 시들이 많았다”라고 심사 소감을 밝혔습니다. 나태주 시인은 “다행인 것은 예심을 거쳐 넘어온 작품의 작가들 이름을 블라인드 처리한 일입니다. 만약에 이름이 보였더라면 작품을 고르는 데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텐데 주관 부서에서 이렇게 처리한 일은 아주 잘한 일이요 현명한 일이었다 싶습니다. 아닌 게 아니라 심사를 마치고 돌아와 예심에 올라온 모든 작품을 응모자의 정보와 함께 보여 달라고 해서 보았을 때 깜짝 놀랄만한 이름들이 응모작 속에 들어 있었습니다. 이미 유명한 시인들의 이름이 거기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참 묘하게도 기성시인들의 작품만 입상작에서 모조리 빠져 있었습니다. 이것은 심사위원들이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미리 블라인드 처리를 한 결과이고 또 나름 공정하게 심사한 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라며 공정한 심사였음을 강조했습니다. 유자효 시인은 “노인들의 시는 젊은이들이 도저히 갖지 못하는 강점이 있다. 그것은 시간이 주는 경험이라는 보고이다. 이런 자산을 바탕으로 활발한 시작 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우리 시단의 새로운 경향이자 자산이 되고 있다. 특별히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공모전에서도 그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공모전 심사 소감을 밝혔습니다. 공모전 작품 경향 일상과 추억: 어르신들은 자신들의 일상에서 깨닫는 작은 기쁨들과 순간들을 시에 담았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평범한 일상 속에서도 소중함을 발견하고 감사할 줄 아는 어르신들의 삶의 태도를 반영합니다. 많은 작품이 일상의 소소한 순간들, 과거의 추억, 가족과의 관계 등을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어르신들의 삶으로 깊이 들어가 그들의 경험과 감정을 공감하게 됩니다. 유머와 재치: 어르신들의 작품 속에는 유머와 재치가 넘칩니다. 삶의 어려움과 도전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작품들을 통해 드러납니다. 일상에서의 작은 해프닝이나 오해 등을 유머러스하게 담아낸 작품들이 많습니다. 이를 통해 삶의 어려움과 도전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어르신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삶의 깊이와 성찰: 많은 작품들이 삶의 끝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어르신들은 자신들의 삶을 되돌아보며 살아온 시간의 의미와 죽음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시간의 흐름, 삶과 죽음, 가족과 세대 간의 이해와 소통 등 깊이 있는 주제를 다루는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랑과 가족: 가족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어르신들은 부모와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등을 다루며 세대 간의 사랑과 이해, 그리고 때로는 갈등과 화해의 순간들을 표현합니다. 가족 구성원 간의 사랑과 관계, 특히 손자녀와의 관계를 다루는 작품들이 많았으며, 이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과 세대 간의 따듯한 교류가 강조됩니다. 감정의 표현: 작품들은 어르신들의 삶에서 느껴지는 다양한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기쁨, 슬픔, 사랑과 그리움, 외로움 등 복잡한 인간 감정의 스펙트럼이 이번 공모전을 통해 잘 드러납니다. 스타일과 표현: 전통적인 시 형식부터 자유로운 형식의 시까지, 짧고 함축된 다양한 시적 표현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작품마다 독특한 목소리와 스타일을 만들어냅니다. 대부분의 작품이 직접적이고 솔직한 언어를 사용하여, 어르신들의 진솔한 감정과 생각을 전달합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