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국제정세의 이해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지구촌의 국제관계 =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 the crisis of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nd global relation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72735 서부종합실 대출중 2024-07-10 예약하기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국제정세의 핵심 이슈에 관한기본 개념과 흐름을 한 권에 담다 대학 초년생 정도의 국제정치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쉬운 국제정세 입문서를 표방하며, 지은이의 구체적인 강의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2001년 처음 출간된 『국제정세의 이해』는 재쇄와 개정판을 거듭하며 대학 강의용으로, 일반인의 국제정세에 대한 지식교양서로 20년 넘게 널리 읽혀왔다. 2024년 1학기에 맞추어 발간된 이번 제7개정판의 부제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지국촌의 국제관계’이다. 이 책의 저자 유현석 교수는 출간 시점의 국제정세를 반영해서 부제를 정해왔는데 2024년은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구축한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붕괴가 본격화되는 시기가 될 것이고 부제는 이러한 국제관계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제목이라고 말한다. 이번 개정판의 가장 큰 변화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등장과 그로 인한 2021년 이후의 새로운 변화를 담아낸 것이다. 기존의 중국 부상과 국제질서 그리고 동아시아 국제관계 장을 미·중 관계의 최근의 전개까지를 담은 인도-태평양 질서(3장) 그리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양자·다자 관계(4장)로 재구성하고 최근의 변화를 다루었다. 그리고 코로나19와 국제정세를 다룬 17장을 삭제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국제정세의 이해 (제7개정판) (반양장) - 유현석 지음
대학 초년생 정도의 국제정치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쉬운 국제정세 입문서를 표방하는 책이다. 2024년 1학기에 맞추어 발간된 제7개정판에서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등장과 그로 인한 2021년 이후의 새로운 변화를 담아냈다.

목차

제7개정판 서문 󰠃 제6개정판 서문 󰠃 제5개정판 서문 󰠃 제4개정판 서문 󰠃 제3개정판 서문 󰠃 제2개정판 서문 󰠃 개정판 서문 󰠃 초판 서문

01 국제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국제정치를 보는 다양한 렌즈: 국제정치의 접근법들╷2. 네 가지 접근법의 적용: 미·중관계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02 국제정치의 역사
1. 근대 국제체제의 등장: 웨스트팔리아체제╷2. 유럽협조체제의 등장╷3. 1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4.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유체제╷5. 20년간의 평화와 제2차 세계대전╷6. 제2차 세계대전의 마무리와 얄타체제╷7. 냉전의 시작╷8. 냉전의 종식╷9. 탈냉전의 시대: 문명충돌?╷10. 탈근대 국제관계?: 9·11 테러와 국제관계의 변화╷11. 중국의 부상과 탈냉전기 국제질서의 변화: 자유주의적 국제질서의 위기╷12. 신냉전은 시작되었는가?

03 중국의 부상과 인도-태평양 질서의 등장
1. 미국과 동아시아 전략╷2. 중국의 부상과 미·중관계╷3. 미·중 패권 경쟁: 전략적 경쟁의 본격화╷4.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중국 봉쇄와 신냉전의 가능성?╷5. 미·중경쟁의 심화와 한국의 외교전략

04 인도-태평양 국제정치: 주요 양자·다자 관계
1. 미·중 경쟁의 심화와 일본 외교안보 전략의 변화╷2. 미·중 경쟁과 한미동맹의 변화╷3. 미·중 경쟁 시대의 한중관계╷4. 한·미·일 협력의 진전: 캠프 데이비드 선언╷5. 미·중 경쟁 시대의 중·일관계: 갈등과 협력의 공존╷6. 인도-태평양 전략과 지역 다자안보협력

05 글로벌화
1. 글로벌화란 무엇인가?╷2. 글로벌화의 모습들╷3. 글로벌화의 도전: 글로벌화의 정치적 영향╷4. 글로벌화, 상호의존 그리고 국가안보╷5. 글로벌화는 역전될 것인가?: 미·중 중심의 진영화와 글로벌화의 미래

06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I. 지역주의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3. 글로벌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아니면 보완적인가?╷4. 지역협력 사례

II. 지역통합: EU의 사례
1.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설명╷2. 유럽통합의 역사╷3. 화폐통합: 유럽경제통합의 완성╷4. EU의 조직 및 기구╷5. EU의 확대와 제도화: 리스본 조약을 향한 여정╷6. 유럽통합의 위기: 유로존 위기와 브렉시트╷7. EU와 미국╷8. 유럽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새로운 역할을 위한 변화

07 국제정치와 안보
1. 안보란 무엇인가?╷2. 안보 개념의 변화╷3. 어떻게 안보를 얻을 수 있는가?: 평화를 위한 처방╷4. 군축과 군비통제

08 핵무기와 국제정치
1. 핵무기와 국제정치: 핵이 평화를 가져오는가?╷2. 핵 억지╷3. 핵 확산: 왜 핵은 확산되는가?╷4. 핵 비확산을 위한 노력╷5. 한국의 핵개발╷6. 북한의 핵개발╷7. 한국의 핵 무장 논란

09 국제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
I. 국제정치와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1.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배경╷2. 비국가행위자의 종류╷3. 국제기구╷4. 국제비정부기구의 역할

II. 유엔(UN)
1. 유엔의 역사╷2. UN의 창설╷3. UN 체제의 조직 및 구성╷4. UN의 문제점과 개혁╷5. UN의 새로운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와 UN╷6. UN과 한국

10 외교와 대외정책
I.외교
1. 외교란 무엇인가?╷2. 외교의 자원╷3. 외교와 협상╷4. 외교 형태의 변화

II. 대외정책
1. 대외정책 결정요인╷2. 대외정책 결정과정 모델╷3. 대외정책과 국내정치

11 환경문제와 국제정치
1. 환경문제의 성격╷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3. 환경문제와 남북문제 그리고 국가주권문제╷4. 환경문제의 실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12 인권과 국제정치
1. 인권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성과╷2. 국제 인권문제의 복잡성╷3. 국제 인권문제의 새로운 추세╷4. 인권 증진을 위한 한국의 다자외교

13 지구촌의 빈곤문제와 국제개발협력
1. 남북문제의 전개╷2. 무엇이 문제인가?: 남북의 상반된 인식╷3. 제3세계의 전략: 신국제경제질서의 요구╷4. 선진국의 노력: 국제개발협력과 공적개발원조╷5. 남북문제의 현재: 제3세계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남북갈등╷6. UN에서의 개발협력: MDGs와 SDGs╷7.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어젠다╷8.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정책: 기여외교와 ODA

14 국제무역질서의 전개와 변화
1. 전후 국제무역질서의 확립╷2. GATT체제의 탄생╷3. GATT의 성과와 위기╷4. WTO체제의 출범과 활동╷5. WTO의 과제들╷6. 도하개발어젠다와 WTO의 미래

15 국제통화·금융체제의 전개와 변화
1. 국제통화체제의 중요성╷2. 국제통화체제의 역사적 전개╷3. 브레턴우즈체제의 위기와 몰락╷4. 새로운 세계통화질서의 모색╷5. 미국발 금융위기와 새로운 국제금융 거버넌스의 모색╷6. 탈달러화 움직임과 전망

16 에너지와 국제정치
1. 왜 에너지는 국제정치의 중요한 요소인가?╷2. 셰일 에너지 혁명과 국제정치적 영향╷3. 미·중관계와 에너지╷4. 한국의 에너지 안보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