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최신 의학 데이터로 알게 된 약藥·저염低鹽에 의존하지 않고) 혈압을 낮추는 방법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CKM000009112 채움자료실 대출중 2024-07-11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고혈압과 약의 관계 고혈압은 약으로 치료하는 것보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편이 돈을 더 절약할 수 있다 “혈압약을 끊고 싶어도 끊을 수가 없습니다.” “혈압약을 끊는 것이 두렵습니다.”라는 말을 많이 한다. ‘혈압약을 끊을 수 없는 이유도’ ‘두려워하는 이유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또 혈압이 올라갔지만 약은 먹고 싶지 않다든가, 약을 먹고 있지만, 약이 아닌 다른 방법이 없을까 하고 생각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쏟아지는 정보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런 사람을 위해 이 책에서는 ‘약으로 혈압을 낮춰도 동맥경화 등의 병을 막지 못한다는 데이터’ ‘동맥경화 등 혈관 질환에 걸리는 진짜 이유’ ‘약이 아닌 다른 해결법은 뭘까?’에 대해서 알려준다. 고혈압은 개인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요인이 얽혀 있을 수 있어, 사람과 환경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혈압이 높다는 것은 단순히 혈관이나 심장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과 환경의 문제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저자는 다시 한번 전 세계 논문과 연구를 훑어보고 확실한 증거와 데이터에 근거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또 그 과정에서 최근 고혈압의 2대 치료법으로 알려진 저염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만큼 효과가 없다는 것을 데이터로 말한다. 지금까지 의사가 하는 말만 믿고 혈압약을 먹고 소금을 과하게 줄이려고 애썼던 사람들에게는 놀랄 만한 내용이 되겠지만, 이 책을 다 읽을 때쯤이면 데이터에 근거한 고혈압과 뇌 심혈관 질환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고혈압이란 뭘까? 도대체 고혈압이란 뭘까? 혈액을 온몸 구석구석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심장에서 적절한 압력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혈압이다. 여기서부터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혈압은 ‘최대 혈압’인 수축기 혈압과 ‘최소 혈압’인 확장기 혈압 2가지가 있다. 흔히 정상이라고 말하는 130/90의 형태로 표기한다. 수축기 혈압은 좌심실이 수축할 때의 압력을, 확장기 혈압은 좌심실이 확장될 때의 압력을 나타낸다. 즉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이 받는 힘을 나타내며, 확장기는 혈관의 경도와 긴장도를 나타낸다. 척추동물은 물에서 육지로 진출하면서 중력을 받게 된다. 인간의 뇌는 심장보다 높은 곳에 있다. 따라서 뇌의 혈류가 가장 부족해지기 쉬운데, 이 혈류 부족을 막기 위해서 심장에서 뿜어낸 혈액이 중력을 이겨내고 공급되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혈압이 높아진다. 흔히 기린은 목이 길어서 혈압이 높다고 하는데 코끼리와 소, 고양이, 돼지도 혈압이 높다. 조류도 일반적으로 혈압이 높은데 그중 칠면조는 최고 혈압이 300~400mmHg으로 가장 높다. 이 동물들의 혈압이 높다고 해서 모두 건강 상태가 불량하다는 뜻은 아니다. 혈압이 높아도 혈관이 견딜 수 있다면 건강하다. 사람의 건강은 혈액 순환에 따라 좌우된다. 혈관의 노화가 진행되면 사람도 노화되는데, 혈관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것이 일반적으로 고혈압이다. 하지만 혈압이 높아도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즉 혈압이 높은 것과 혈관의 노화가 반드시 같은 뜻은 아니라는 말이다. 혈압이 높으면 동맥경화가 진행된다고 한다. 그리고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되고, 신장이 나빠지므로 혈압을 낮추라고 한다. 하지만 혈압이 높지 않은 사람에게도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이 나타난다. 즉 ‘고혈압=동맥경화’가 아니라 고혈압은 동맥경화의 원인 중 하나에 불과하다. 약을 먹어서 혈압을 낮춰도 대부분 동맥경화를 막을 수는 없다. 그런데도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면 환자들은 “약을 드세요”라는 말만 듣게 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