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훔친 돼지만이 살아남았다 : 축산업에서 공개구조 된 돼지 새벽이 이야기
  • ㆍ저자사항 향기,
  • ㆍ발행사항 부산 : 호밀밭, 2021
  • ㆍ형태사항 234 p. : 천연색삽화 ; 20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왜 'DxE(direct action everywhere), 어디서나 직접행동'인가?
  • ㆍISBN 9791168260016
  • ㆍ주제어/키워드 돼지 축산업 공개 구조 새벽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342963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ㆍ 고기라는 꼬리표를 끊고 자유로운 동물로서 다가온 한반도 최초의 돼지 ‘새벽이’ 이야기 “아니야, 괜찮아. 우리는 너를 구조하려는 거야.“ 2019년 7월 경기 화성시의 어느 돼지 농장에서 아기돼지 한 명(命)이 태어났다. 동물권 단체 직접행동DxE(Direct Action Everywhere)는 오물과 쓰레기, 악취로 가득한 분만사에서 그 아기돼지를 구출했고, 이후 ‘새벽이’라는 멋진 이름을 붙여줬다. “아기돼지를 품에 안고 그의 뜨거운 체온을 느끼며 농장 밖으로 벗어났다. 농장에 있는 수천 명의 아기돼지 중, 한 아기돼지가 내 품에 안겨 처음으로 감금시설 밖을 벗어나게 되었다. 그런데 그때, 그는 아주 큰 소리로 울기 시작했다. 울음소리를 듣고 시설을 관리하는 누군가가 잡으러 오기라도 한다면, 당장 소리를 지르고 있는 아기돼지는 구조되지 못하고 다시 병들어 죽거나 도살장에 끌려가 죽을 것이다.” - 본문 中 새벽이를 간신히 구조했지만, 낯선 존재를 알아나가는 과정은 결코 만만치 않았다. 돼지는 아무거나 잘 먹는다는 건 편견이었다. 새벽이는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명확한, 우리와 다를 바 없는 존재였다. 미디어에서 곧잘 묘사되는 게으르고 뚱뚱하며 탐욕스러운 ‘돼지’는 그들이 겪은 학대로 왜곡된 모습일 뿐이었다. 땅에 코를 박는 건 세상과 교감하기 위함이었으며, 진흙에 몸을 부비는 건 땀샘이 따로 없어 체온을 조절하기 위함이었다. 새벽이의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일 역시 투쟁 그 자체였다. 새벽이를 간신히 구출했지만 그가 살아갈 사회가 달라진 건 아니었다. 그가 자신답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은 정말 찾기 어려웠다. 괜찮다고 생각한 땅 옆에는 어김없이 돼지농장이 있었다. 곳곳에는 셀 수 없을 만큼 무수한 ‘새벽이’가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초록 울타리로 둘러싼 100평 남짓한 땅에 ‘새벽이생추어리’가 만들어졌다. 생추어리는 낭만적인 곳도, 낙원도 아니다. 하지만 감금시설에서 공개구조 된 새벽이가 생추어리에서 보여주는 극적으로 달라진 삶의 이야기는, 부정할 수 없는 강력한 동물해방의 씨앗이기도 하다. 생추어리는 본래 먹히기 위해서 태어난 존재라는 낙인을, 동물은 인간과 근본적으로 다르게 태어난 존재라는 단절된 인식을 부순다. 그리하여 인간들끼리 ‘우리가 소유했다’라고 착각하는 땅 위에 갑자기 어느 한 곳을 울타리로 둘러싸고 ‘생추어리’라 부르는 행동은 하나의 강력한 동물해방 운동이 된다. “갇혀있는 몸, 끊임없이 꽂혀대는 주사기, 강제 임신과 출산, 영아 납치. 젖꼭지가 찢기고 충격에 몸을 가누지 못하게 되어 더 이상 일어설 수 없게 된 몸. 매질을 하고, 크레인과 갈고리로 몸을 끌고 도살하는 이 모든 시스템. 지옥을 연상케 하는 시스템 너머로 디자인된 푸른 목장의 이미지가 인쇄된다. 우리 모두 행복합니다. 동물들은 건강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할 권리가 있습니다. 소비하세요. 먹어 치우세요. 그리고 더 이상 알려고 하지 마세요. 그런데 이때, 우리 사회에 벼락같이 등장한 이가 있다. 바로 축산업의 감금·학대시설에서 공개구조 된 또 다른 평범한 동물, 돼지 새벽이다. 그는 ‘고기’가 될 운명을 부수고 새로운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폭력에 가담하고 있는지도 모른 채 좀비가 되어 남의 피와 살을 게걸스럽게 먹으며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 들어가며 中 세상은 새벽이를 삼겹살, 목살, 항정살, 갈매기살과 같은 ‘고깃덩어리’로 조각낸다. 새벽이를 부위별로 조각내어 살점의 위치 그리고 식감에 따라 분류한다. 이 책은 사회가 조각낸 동물의 존재를 이어 붙여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 보여주고 이야기한다. 동물권에 대한 담론이 뜨겁게 나오고 있는 요즘, ‘고기’가 될 운명을 부수고 새로운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새벽이는 존재 그 자체만으로 동물권의 최전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사회가 가두어두고 경멸하는 동물들로부터 우리가 무엇을 빼앗은 것인지, 무엇을 잃은 것인지, 이 책은 애써 외면해왔던 진실을 들춰내기 위해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