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오무라 마스오와 한국문학 : 일본 조선문학의 선구자 : 대담집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73482 서부종합실 상호대차중 - 예약하기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문학의 길을 선택한 일본인 학자 오무라 마스오 스스로 말하는 그 자신의 삶과 철학, 시대사. 문학을 매개로 한국과 일본의 젊은이가 사이좋게 지낼 세상을 꿈꾸었던 일본의 한국학자, 오무라 마스오(1933.5.20~2023.1.15)와 일본어문학 연구자 곽형덕 교수의 대담이 책에 담겼다. 대담집은 오무라 마스오의 유소년기, 가족사 체험 내용으로부터 시작된다. 꽤 소상한 수준까지 회고담이 진행되는데, ‘학자’의 대담집 내용으로서는 특이하다. 왜 이 대담집은 외국인 학자의 개인 가족사와 성장기 체험을 꼬치꼬치 캐물었고 당사자는 왜 또 이렇게 소상히 답을 했던 것일까. 이것은 한국인의 관심이 오무라 마스오의 저작물 뒤에 있는 것, 오무라 마스오라는 인간과 그 시대를 이해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듯하다. 가족사와 유소년기, 성장기 체험으로 이어지는 오무라 마스오의 회고 스타일은 거의 사소설적이다. 윤리적 개입, 가치 판단은 최소한도에 그친다. 특히 전쟁 말기 소개지 체험 내용은 근대 일본의 국가 범죄 속에서 평범한 일본인의 몸과 마음이 어떻게 붕괴되어 가고 있었는가를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물이 된다. 이 모든 내용들은 오무라 마스오 개인은 물론, 그를 둘러싼 이른바 소화(昭和) 생활사와 한일 관계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생생한 내용들로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풍부하다. 한국 측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일본에서의 한국문학 연구사,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정착 과정, 전후 재일 사회의 움직임 등등, 시선을 끄는 자료들이 풍성하게 담겨 있다. 긴 대담의 마침표를 찍다. 이 책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이루어진 네 차례의 공식적인 대담과, 2009년부터 주고받았던 대화, 이메일 등을 모아 정리한 것이다. 오무라 마스오가 윤동주의 묘소를 발견(1985)하고 그의 자필시고전집을 간행(1999)한 이래로 한국 내에서 그를 향한 관심이 널리 퍼졌다. 자연히 그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자 하는 대담 시도도 끊이지 않았는데 이번 대담짐은 가히 그러한 시도의 최종 종합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신중하고 간결한 그의 문장을 읽고 있자면 한일 사이의 여러 편견과 사투하면서도 한반도 지식인의 지성사를 놓치지 않은, 소수자의 시선 속에 자리한 동아시아 지성사가 머릿속에 그려지는 듯하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