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장일순 평전 : 걸어 다니는 동학, 장일순의 삶과 사상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73674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많은 이들과 함께 걸어온 길, 서거 30년에 즈음하여 펴내는 새 장일순 평전 『녹색평론』 발행인 김종철이 단 한 번 보고 홀딱 반했다는 사람, 목사 이현주가 부모 없는 집안의 맏형 같은 사람이라 했고,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유홍준이 어디를 가던 함께 가고 싶다 했던 사람, 「아침 이슬」의 김민기가 아버지로 여기고, 판화가 이철수가 진정한 뜻에서 이 시대의 단 한 분의 선생님이라 꼽았던 사람…. 『장일순 평전 -걸어 다니는 동학, 장일순의 삶과 사상』은 교육자, 사회운동가, 서예가이며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한살림운동의 숨은 주역, 무엇보다 우리나라 생명운동의 스승으로 널리 알려진 무위당 장일순(1928~1994)에 대한 새로운 평전이다. 지난 2019년, 처음으로 『장일순 평전』(김삼웅 지음, 두레 발행)이 출간된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것으로 장일순의 서거 30주기에 즈음하여 그간에 발굴된 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쓴 책이다. 무위당 장일순의 생애를 정리한 글을 간추려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일제 강점기 원주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장경호 밑에서 한학을 익혔고 우국지사 박기정에게서 서화를 배웠다. 194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6·25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한 뒤, 고향 원주로 내려가 줄곧 원주에서 살았다. 1954년 지인들과 함께 원주에서 대성중·고등학교를 설립하고 교육운동에 힘썼다. 1960~70년대에는 지학순 주교, 김지하 시인 등과 함께 경기, 충북 일대의 농촌 광산 지역의 농민과 노동자들을 위한 교육과 협동조합운동을 펼쳤고,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반독재 투쟁을 지원하면서 사상적 지주 역할을 했다. 1980년대에는 원주에서 ‘한살림 운동’을 열어 산업문명으로 파괴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살림’의 문화를 만드는 생명사상(운동)을 펼쳤다. 가톨릭 신자이면서도 불교와 유학사상 및 노장사상에도 조예가 깊었고 특히 해월 최시형의 사상과 세계관에 많은 영향을 받아 ‘걷는 동학’으로 불리기도 했다.” 장일순의 일생이 곧 격동의 우리 현대사였던 셈이다. 그 파란만장한 시대의 불의에 온몸으로 맞서면서 늘 사색하고 쉬지 않고 행동했던 사람, 장일순을 한마디로 정의할 수는 없다. 작고한 언론인 리영희는 이렇게 말했다. 그것이 놀라워요. 철저하면서도 조금도 철저하지 않은, 그저 일상생활이 되어버리는 이런 인간의 크기 말입니다. 그런 크기를 지니고 사회에 밀접하면서도 사회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 속에 있으면서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시키면서도 본인은 항상 그 밖에 있는 것 같고, 안에 있으면서 밖에 있고 밖에 있으면서 인간의 무리들 속에 있고, 구슬이 진흙탕에 있어도 나오면 그대로 빛을 발하는 것 같은 그런 사람은 이제 없겠지요. 장일순은 동서양의 사상을 아우르며 ‘죽임’의 세상을 ‘살림’의 세상으로 바꾸고자 했던 사람, 나와 맞선 상대까지 ‘보듬어 안는 따뜻한 혁명’을 추구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는 생전에 자신에 관한 단 한 권의 책도 세상에 남기지 않았다. 그런 장일순의 삶과 사상을 한 권의 책으로 풀어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이 책의 지은이 한상봉은 서문에서 ‘장일순 선생님의 그릇이 너무 크고 가늠하기 어려워’ 이 책을 쓰기까지 십여 년의 시간이 필요했다고 고백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