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뾰족한 마음 - 지치지 않고 세상에 말 걸기 : 지치지 않고 세상에 말걸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MEM000017328 마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섣부른 낙관과 건방진 냉소에 침식되지 않는 삶의 전망과 논의의 지평을 열기 위하여 패기 넘치는 태도로 그 어떤 성역 없이 종횡무진 대중문화 비평을 이어온 저자 위근우가 지난 2년여의 글들에 지금의 생각을 덧붙여 《뾰족한 마음》이라는 제목으로 묶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2013~2016년의 글들을 모은 《프로불편러 일기》, 2017~2019년의 글들을 모은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겁니다》를 잇는 책이다. 2020~2022년의 글을 모은 이 책에서 그는 “최근의 문화적 이슈에 있으나 마나 한 코멘트를 제공”하고 SNS 팔로워 숫자에 연연하며 “특정 대상이나 특정 입장을 피함”으로써 굴종하는 것이 아니라,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비판적 논의를 위한 관점을 구성”해내고자 했다. “무난한 마지막 문단” 그리고 “보편적 관점”이라는 핑계로 “원론적으로만 옳은” 말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를 끝까지 밀고 나감으로써 사회의 공론장 속에서 실천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스스로를 돌아보고 벼려온 노력의 결과를 담았다. 세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더 나은 방향을 제안하는 일은 때로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이는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뾰족함과 삐딱함은 다를뿐더러, 실명 비판과 제언이 전투태세 돌입과 비방으로 이어져야 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뾰족한 마음”은 불의한 세상에 무기력하게 타협하지 않기 위한 스스로의 다짐이며, 곳곳에서 분투하는 수많은 이들의 노력과 이어 닿기 위한 연대의 목소리다. 저자가 대단한 사람이라 뾰족한 게 아니다. 그는 대단하지 않기에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망을 위해 뾰족해지려는 것이다. 이는 저자에게 세상에 지치지 않고 꾸준히 발화하는 가장 큰 동력이 된다. 웹툰에서 OTT, 영화, TV 예능, 비디오게임, SNS 그리고 정치 이슈까지 넘나드는 35개의 대중문화 비평 글은, 때로는 강력한 비판과 도전으로 때로는 적극적인 발굴과 찬사를 통해 섣부른 낙관과 건방진 냉소를 넘어선 삶의 전망과 논의의 지평을 열어내고자 시도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뾰족한 마음 - 위근우 지음
패기 넘치는 태도로 그 어떤 성역 없이 종횡무진 대중문화 비평을 이어온 저자 위근우가 지난 2년여의 글들에 지금의 생각을 덧붙여 《뾰족한 마음》이라는 제목으로 묶었다.

목차

프롤로그

1장. K 같은 소리 하고 있네

박태준의 ‘인싸’ 월드는 무엇을 배제하는가 - 〈외모지상주의〉〈싸움독학〉〈인생존망〉 │ 윤리적 전망을 남기지 못한 길고 긴 알리바이의 기록 - 〈인간수업〉 │ 선의 포기를 종용하는 나홍진의 세계관 - 〈랑종〉 │ 〈D.P.〉가 군필 남성들의 자기연민을 위한 땔감이 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논의들 │ 중년 남성에 대한 연민만 일관적인 마구잡이 서바이벌 게임 - 〈오징어게임〉 │ 〈지옥〉 그리고 넷플릭스 오리지널 K콘텐츠의 지옥도가 욕망하는 것 │ 노홍철의 넷플릭스 타령이 드러내는 글로벌 콘텐츠의 진실 - 〈먹보와 털보〉 │ ‘지금’ 그리고 ‘우리’에 대해 무책임한 세계 - 〈지금 우리 학교는〉

2장. 차별에 찬성하는 세계

하연수, 타협 없이만 누릴 수 있는 자유 │ 차별주의자들에게 승리의 경험을 줄 때 벌어지는 일 │ 허지웅과 주호민의 데칼코마니 같은 PC주의 비판 │ 김대중을 모델로 하면서 전라도 사투리를 배제한다고? │ 을지OB베어가 사라져도 을지로 노가리 골목은 ‘힙’할 수 있을까 │ 네이버웹툰에 대한 여성혐오자들의 악플 테러는 어떤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벌어졌는가 │ 이준석과 〈더 지니어스〉, 공정한 경쟁이라는 허구의 세계 │ 기안84와 달팽이 인간 그리고 ‘이대남’이라는 정체성 │ 신남성연대 같은 차별주의자들은 어떻게 댓글을 게시판으로 활용하나

3장. TV는 정색을 싣고

비와 유재석의 촌스러움 속에서 더 빛난 이효리의 하드캐리 │ 남발하는 ♡는 사랑을 가장한 어뷰징 │ ‘가짜사나이’들의 자발적 착취가 만들어내는 자기 극복의 가짜 쾌감 │ 사생활 리얼리티쇼와 하이에나의 언어들 │ 드라마 속 흥신소 클리셰는 사라져야 한다 │ 윤석열의 안하무인 그리고 ‘온 더 블럭’ 없는 유재석의 딜레마 │ 임종린의 세계와 포켓몬빵의 세계라는 대혼돈의 멀티버스 │ 세상엔 오은영 박사님도 해결 못할 문제가 있다

4장. 작지만 의미 있는 전진
진심은 어떻게 진실을 속이는가 - 〈스토브리그〉 │ 김신영이라는 천재가 소환한 새로운 예능 캐릭터 - 둘째 이모 김다비 │ 비극적 아이러니를 담아낸 위대한 속편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 │ 모든 남자가 다 그런 건 아니라는 항변의 무가치함 - 〈성경의 역사〉 │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입법해야 하는 순간은 바로 지금 - 〈카이로스〉 │ 배우 반민정의 싸움을 제대로 기억해야 하는 이유 │ 가상을 통해 대면할 수 있는 진실들에 대하여 - 《이세린 가이드》 │ 생존 너머 인간의 삶 - 〈위아더좀비〉 │ 우리가 구체적인 가해자들에 대해 말해야 하는 이유 - 〈프레이밍 브리트니〉 │ ‘참교육 썰’이 대세인 시대에 더 소중한 사과와 용서의 가능성 - 〈집이 없어〉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