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오스만 제국 600년사 - 1299~1922 : 1299~1922
  • ㆍ저자사항 이희철 (지은이)
  • ㆍ발행사항 서울: 푸른역사, 2022
  • ㆍ형태사항 382 p: 삽화, 지도, 초상; 23 cm.
  • ㆍISBN 9791156122203
  • ㆍ주제어/키워드 오스 12991922 600년사 제국
  • ㆍ소장기관 마하어린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MEM000017363 마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오래 존속한 국가 오스만 제국 600년사 ‘잊힌 제국’ 오스만. 서양사에서 오스만 제국은 ‘잊힌 제국’이었다.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부상과 확장은 유럽인들에게 충격과 함께 시련을 안겨주었다. 20세기 초까지 오스만 제국이 존재하는 동안 기독교 세계(유럽)와 이슬람 세계(오스만제국)는 대결의 구도에 갇히게 되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기독교 세계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서양(기독교)과 동양(이슬람)의 이분법적 담론 속에서 이슬람은 서구의 경계 대상이 되었고, 유럽을 괴롭힌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 세계 밖의 ‘타자’일 뿐이었다. 그 때문에 오스만 제국에 관한 서구의 탐구는 지연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가장 오래 존속한 제국 중 하나이며 세계사에도 큰 영향력을 끼친 제국이다. 유목인이었던 터키인들이 아나톨리아반도에 정착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한 뒤 유럽 ‘땅’에서 유럽인들을 대면한 것은 14세기였다. 그로부터 19세기까지 유럽과 오스만 제국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서로 정치·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했다. 르네상스, 대항해 시대, 종교개혁 등 유럽의 커다란 변화 뒤에는 오스만 제국이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자 동로마 제국에 있던 그리스 학자들은 이슬람을 피해 서유럽으로 건너갔고, 서유럽 사람들은 그리스 학자들이 가지고 온 동로마의 중동의 학문에 자극받아 그리스 학문을 다시 탐구하자는 학풍이 유행한다. 이것이 르내상스의 시작이다. 대항해 시대도 마찬가지였다. 지중해와 홍해를 통해 인도와 동방으로 가는 항로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막히자 유럽인들은 아시아로 갈 새로운 항로를 개척했고, 결국 신대륙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이런 연유로 오랫동안 서양사에서 ‘잊힌’ 오스만 제국은 최근 반세기 동안 터키와 미국·영국·프랑스 등 서구 역사학자들의 탐구를 통해 서양사의 당당한 한 축으로 부활하고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오스만 제국 600년사 - 이희철 지음
오스만 제국사 600년사를 편년체 통사 형식으로 서술한다. 뿐만 아니라 전쟁과 정복을 통한 군사 강국, 다민족·다종교 사회, 종교적 관용, 지적·문화적·예술적 성취, 독특한 정신적 가치관과 신념, 탁월한 건축문화와 예술, 유럽과의 교류와 상호 영향 등 오스만 제국의 특징을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오스만 제국 연대기

01 역사 속의 튀르크인, 터키인
터키인의 기원
이슬람 셀주크 제국
13세기 아나톨리아

02 건국 시기 1300~1453
건국 초기 정복사업
돌발 상황 앙카라 대전
오스만 제국의 재통일
전략적 요충지 발칸
천년 고도 콘스탄티노플 정복
발칸반도 이주와 정착
오스만 전성기를 가져온 양대 군대조직
술탄의 궁정, 대재상의 내각
정리와 평가 건국기의 국가 철학

03 세계 제국 1453~1600
‘정복자’ 메흐메드 2세의 제국
셀림 1세, 맘루크 술탄국 정복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
쉴레이만 1세의 세계 제국
인재 양성의 산실 메드레세와 궁정학교
장인과 예술가들의 도시 이스탄불
정리와 평가 강한 정부 강한 군사력의 세계 제국

04 격랑의 시대 1600~1700
위기의 17세기
대항해 시대, 변화에 뒤처지다
적자에 허덕이는 국가 재정
예니체리 개혁 시도
부패한 관리들, 무질서한 사회
‘미친’ 술탄 아브라힘
‘사냥꾼’ 메흐메드 4세
1683년 오스트리아 빈 침공
정리와 평가 길고 긴 정체와 쇠퇴의 길

05 변화와 외교의 시대 1700~1800
유럽의 성장과 오스만의 쇠퇴
강대국과의 평화조약
튤립 시대
제정 러시아와의 대결
18세기 개혁 시도
셀림 3세의 개혁 구상 ‘새로운 질서’
오스만 중심주의 외교에서 벗어나다
유럽에서 유행한 터키풍
정리와 평가 개혁의 실패

06 개혁과 근대화 1800~1922
혁명의 시대 19세기
마흐무드 2세의 혁신
발칸 민족주의 발흥
이집트 문제
서구식 근대화, 탄지마트 개혁
입헌군주제 도입
외채 도입과 경제난
제국의 몰락
정리와 평가 오스만인에서 터키인으로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