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여자들은 집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난다 : 이주한 1인가구 여성청년들이 살아가는 세계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DM000005790 상대동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지방에서 서울로 이주해 왔으며, 혼자 살아가는 이들 열두 명에게서 들은 ‘집’에 관한 이야기 누구나 집을 소유할 수 없고, 누구에게나 집이 편안한 공간이 아니듯이, 집은 모두에게 같은 방식으로 경험되지 않는다 한국 사회에서 집이 차지하는 위상은 압도적이다. 집은 어떤 사람이 살아가는 물리적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그가 살아온 삶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지표다. 집은 (거기 살든 살지 않든) 어떤 사람이 얼마나 부유하거나 빈곤한지를 보여주며, 집이 위치한 공간은 그가 접할 수 있었던 교육, 문화 등을 설명해준다. 집은 때로 고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우리가 더 이상 살지 않는 고향 집을 으레 ‘본가’라 부르듯이), 때로는 가족 자체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가족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 ‘집에 일이 생겼다’고 말하듯이). ‘집밥’이나 ‘단골집’ 같은 단어들이 연상케 하는 이미지가 그러하듯이, 집은 흔히 따뜻하고 친밀한 공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 한곳(이를테면 고향)에 붙박여 있어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공간, 떠나서도 향수를 느끼는 공간으로 여겨진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여자들은 집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난다 - 장민지 지음
한국 사회에서 집이 차지하는 위상은 압도적이다. 집은 어떤 사람이 살아가는 물리적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그가 살아온 삶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지표다.

목차

들어가면서

1부 이주민의 탄생
- 여성청년은 누구인가
왜 이주를 경험한 1인가구 여성청년인가 │ 인터뷰 과정
- 집을 떠나며
공간, 장소, 장소화 │ 남성적 장소로서의 집 │ 여성 주체적 ‘이동’의 상상 │ 주체적 장소 만들기의 가능성
- 이주민과 도시
1) 진입하기 │ 2) 회귀하기 │ 3) 정착하기

2부 집이란 무엇인가
- 유동적 공간
1) 경제적 요인에 의한 이동 │ 2) 주거 환경으로 인한 이동 │ 3) 다른 공간과의 위치-관계성
- 해방된 공간
여성-노동에서의 해방 │ 섹슈얼리티 해방 │ 부분적 해방으로서의 소비

3부 나의 집
- 새로운 억압
혼자 사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수사와 공적 가부장제 │ 부정적 정서의 억압 │ 자기 감시와 통제
- 주체적 장소의 생산
유사가족 만들기 │ ‘집’ 밖의 ‘집’ 만들기 │ 미디어 수행을 통한 ‘장소’ 만들기 │ 미디어적 일상과 미디어-장소성

나가면서
부록: 인터뷰 참여자의 자기 집 그리기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