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도서 기본소득, 공상 혹은 환상 - 기본소득을 넘어 국가를 다시 생각해보기 : 기본소득을 넘어 국가를 다시 생각해보기
  • ㆍ저자사항 김공회 (지은이)
  • ㆍ발행사항 파주: 오월의봄, 2022
  • ㆍ형태사항 255 p: 삽화, 도표; 21 cm.
  • ㆍISBN 9791168730274
  • ㆍ주제어/키워드 기본소득 생각해보기 국가 환상 공상
  • ㆍ소장기관 마하어린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MEM000017385 마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기본소득은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기에는 구태의연하고 허술한 무기” 그렇다면 무엇을 보장할 것인가? 소득이 아니라 경제적 안전 보장을! 결국 문제는 민주주의! 《기본소득, 공상 혹은 환상》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기본소득론을 전면 비판하는 책이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인 저자 김공회는 기본소득의 역사와 자본주의 발달사를 함께 재점검하면서 기본소득이 무엇인지, 그동안 기본소득론자들은 무엇을 주장했고 그 모순은 무엇인지를 밝힌다. 그러면서 저자는 단호하게 결론 내린다. 기본소득은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기에는 구태의연하고 허술한 무기”라고. 즉 기본소득은 책의 제목에 나와 있는 것처럼 ‘공상 혹은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기본소득론의 문제가 바로 이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지, 특히 자본주의 경제의 내적 메커니즘이 어떠하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일으키는 문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자본주의 스스로 어떻게 변모하면서 자신이 일으킨 문제에 대한 그 나름의 해결책을 내놓는지를 올바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몰이해 위에서 제시되는 대안이 얼마나 효력을 가질까?”(9쪽) 그렇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순하고 보수적인 기본소득론은 지난 역사에서 계속해서 실패했고, 또 앞으로도 실패할 가능성이 큰 정책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