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한국유학통사. 下
  • ㆍ저자사항 최영성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심산, 2006
  • ㆍ형태사항 736p.; 23cm
  • ㆍISBN 8989721628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유학통사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160964 v.3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유학 2천년 역사의 역사를 정리한 <한국유학통사> 하권. 기존에 출간된 학구적이고 이지적인 색채를 강하게 풍겼던 종래 유학사 서술방식에서 탈피하여, 사회사상사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모색한 책이다. 유학사상의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학술사의 성격을 넘어서 정치사상사...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한국유학통사 -하 - 최영성 지음

목차

한국유학통사 (상)

제1부 序說
제1장 韓國儒學通史 敍述을 위한 構想
제2장 韓國思想의 原型과 儒敎思想
제3장 儒敎의 傳來와 受容, 攝取

제2부 三國時代의 儒敎思想
제1장 高句麗의 유교사상
제2장 百濟의 유교사상
제3장 新羅의 유교사상

제3부 南北國時代의 儒敎思想
제1장 統一新羅의 유교사상
제2장 渤海의 유교사상

제4부 고려 초기의 정치적 동향과 유학사상
제1장 羅末麗初 유교계의 동향과 태조의 통치이념
제2장 광종의 왕권강화와 科擧制 실시
제3장 교육제도 및 과거제도
제4장 고려 전기의 儒佛關係

제5부 고려유학의 형성과 유교문화의 발달
제1장 成宗의 右文政策과 유교정치 이념의 定礎
제2장 崔承老의 時務策과 유교정치 이념의 확립
제3장 私學의 勃興과 崔?의 儒學史上 功績
제4장 北宋 道學의 수용과 그 영향

제6부 官學의 振興과 儒學의 興盛
제1장 睿宗?仁宗 연간의 官學振興策
제2장 典籍 교류 및 출판의 활기
제3장 尊經的 학풍의 高調
제4장 修史事業과 역사의식의 발달

제7부 武人의 執政과 儒學의 衰退
제1장 詩文儒의 浮華와 武臣의 亂
제2장 文人의 활동 및 學界의 動向
제3장 白雲居士 李奎報의 學問과 思想

제8부 程朱學의 受容과 發展
제1장 序說
제2장 고려 말의 儒者와 정주학의 발전
제3장 性理學派의 斥佛運動과 현실인식

제9부 朝鮮의 建國과 創業期의 儒學
제1장 조선의 儒敎立國과 右文政策
제2장 世宗代의 학술문화와 유학사상
제3장 官學派와 士林派의 定礎
제4장 鮮初 名儒의 學問과 思想

제10부 世祖?成宗代의 學界動向
제1장 端宗의 遜位와 사?생육신의 절의사상
제2장 士林派의 성장
제3장 淸談派의 행적
제4장 勳舊派의 활동
제5장 金時習의 철학사상과 出處觀

제11부 至治主義 儒學과 道學政治
제1장 至治主義와 道學政治
제2장 지치주의 儒學派의 주요 사업
제3장 지치주의 儒學派 諸賢의 思想
제4장 己卯士禍와 도학정치의 실패
제5장 지치주의 도학과 도학정치의 영향

제12부 性理學의 發展과 理論的 體系化
제1장 성리학 발전의 요인과 조선적 특성
제2장 主氣論의 先河 徐敬德
제3장 主理論의 先驅 李彦迪

제13부 穆陵盛世의 文運과 성리학의 융성
제1장 明?宣 年間의 文運과 儒界의 동향
제2장 退溪?栗谷學의 成立

한국유학통사 (중)

제3장 退溪?栗谷 前後의 名儒(一)
제4장 退溪?栗谷 前後의 名儒(二)
제5장 壬辰倭亂과 義理思想

제14부 17세기 중엽 이후 정계 및 학계의 동향
제1장 胡亂과 斥和?主和의 思想史的 意義
제2장 崇明排淸義理 및 北伐論의 春秋學的 意義
제3장 慕華思想의 高調와 箕子思想의 顯揚
제4장 崇用山林의 氣風과 그 정치적 기능
제5장 朋黨政治의 발달과 근본 성격
제6장 懷尼是非와 老少分黨
제7장 宋時烈의 학술?사상과 儒學史上 위치
제8장 조선유학의 心學化와 『心經』의 위상
제9장 仁祖 이후의 名儒와 그 思想

제15부 禮學의 성립과 발전
제1장 序說
제2장 禮學의 성립과 禮思想의 전개
제3장 仁祖朝의 典禮問題
제4장 顯宗?肅宗朝의 服制問題 - 己亥服制是非

제16부 脫朱子學風의 胎動과 主體的 經傳註解
제1장 朱子絶對主義의 형성 과정과 배경
제2장 주체적 철학사상의 선구
제3장 탈주자학풍과 주체적 경전주해의 선봉
제4장 주자절대주의와 탈주자학풍의 영향 및 의의

제17부 陽明學의 수용과 발전
제1장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
제2장 양명학의 개요와 末弊
제3장 양명학에 대한 비판과 배척
제4장 양명학파의 성립과 발전
제5장 양명학이 조선에 끼친 역사적 영향

제18부 實學思想의 擡頭와 그 先導者
제1장 序說
제2장 李?光의 懋實思想과 實用精神
제3장 韓百謙의 田制硏究와 實證精神
제4장 金堉의 經世思想과 爲民精神
제5장 柳馨遠의 實學史上 위치

제19부 湖洛學派의 논쟁과 그 의의
제1장 湖洛論爭의 기원
제2장 湖洛學派의 성립과 논쟁의 발전
제3장 논쟁의 思想史的 意義와 문제점

제20부 實學思想의 전개와 특성
제1장 序說
제2장 經世致用派의 성립과 사상적 기반
제3장 北學派와 사상적 특질
제4장 실학의 掉尾 - 丁若鏞과 金正喜
제5장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架橋者 - 崔漢綺

한국유학통사 (하)

제21부 淸朝 考證學의 流入과 經學觀의 변모
제1장 成海應과 漢宋折衷의 경학관
제2장 申綽의 樸學精神과 『詩次故』
제3장 丁若鏞의 洙泗學的 경학 체계
제4장 洪奭周의 宋學的 경학관과 『尙書補傳』
제5장 金邁淳의 朱子學的 절충론
제6장 沈大允의 反性理學的 경학관 - ?性卽理?에서 ?性卽利?로

제22부 天主敎의 전래와 정부의 금압
제1장 천주교 전래의 배경
제2장 천주교의 수용과 보급
제3장 천주교에 대한 정부의 금압
제4장 천주교와 유교의 반성적 이해

제23부 성리학의 분화와 학파적 발전
제1장 퇴계학파의 학설과 전개
제2장 율곡학파의 분화
1. 折衷派와 그 영향
2. 農巖門派의 성립과 발전
3. 鹿門門派의 主氣的 방법론

제24부 斥邪衛正運動의 전개와 의의
제1장 척사위정운동의 배경 및 전개
제2장 척사위정론의 사상적 기초
제3장 대표적 斥衛論者의 학문과 사상
제4장 척사위정운동의 의의와 영향

제25부 國權喪失期 유림의 활동
제1장 일제시기 유교계 개관
제2장 乙巳勒約 이후 유림의 저항과 투쟁
제3장 3.1운동과 유림의 활약

제26부 유학계의 분화와 유교부흥운동
제1장 조선 성리학의 結局 - 田愚와 郭鍾錫
제2장 유교의 개혁과 종교화운동
제3장 양명학과 國權恢復運動
제4장 日帝의 한국유교사 왜곡과 張志淵의 유교관

제27부 광복 이후 유교계 재편과 유림운동의 전개
제1장 儒道會 결성과 유교계 재편
제2장 金昌淑의 활약과 행동주의 유학
제3장 유림 분규와 儒道振興의 難望
제4장 현대 한국유교의 현황 및 유림운동

제28부 현대의 저명한 유학자 및 유교사학자
제1장 한국유학의 通史的 著述과 그 영향
제2장 유학의 位相 定立과 철학적 탐구의 의의
제3장 한국유학사의 深層的 探究와 미래 전망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