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 (The) ideology and aesthetic of popular romance novel in Korea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250258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은 대중연애서사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전성기를 이루었던 시기를 중심으로 연애서사의 인기를 가능하게 했던 당대적 사랑의 양상과 의미를 사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서사 속에서 사랑하고 성장하고 소멸하는 문학주체는 그들에게 공감하거나 반감하는...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 진선영 지음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대중문학 판, 그 해석학적 지형
제1장_대중문학 연구의 오늘과 다음
1. 대중문학 연구의 현황
2. 대중연애서사의 발견
제2장_대중연애서사의 다관점적 해석학
1. 사회적 코드로서의 사랑의 의미론
2. 연애서사의 구조적 공식
3. 독자수용미학과 심미적 효과

제2부 식민지 시기 대중연애서사-이상적 사랑과 도덕적 인간학
제1장_우상적 주체와 아가페적 사랑
1. ‘성모’의 재현과 멸사의 희생정신
2. ‘예수’의 부활과 기독교적 박애주의
3. ‘보살’의 현신과 인류애적 자비심
제2장_멜로드라마 구조와 권위적 ‘종교소설’
1. 돈과 사랑의 이분법과 ‘악’을 통한 ‘악’의 징벌
2. 애욕과 순정의 이분법과 ‘피’의 희생을 통한 회개의 원리
3. 이기와 이타의 이분법과 ‘죄’의 고백을 통한 절대정신의 숭배
제3장_대중적 숭고와 과정적 모방 효과
1. 낙관적 센티멘털리즘과 도덕적 우화의 상찬 효과
2. 숭고와 비장의 결합과 정서적 감응의 실천 효과
3. 신성가족의 거룩과 진화적 향상 효과

제3부 전후 시기 대중연애서사-열정적 사랑과 역설적 인간학
제1장_양가적 주체와 에로스적 사랑
1. ‘자유·부인’의 유희적 사랑
2. ‘자인·졸렌’의 도취적 자기애
3. ‘차일드·우먼’의 그로테스크적 사랑
제2장_모험소설의 구조와 희극적 ‘난봉소설’
1. 변형 편력 구조와 전후파 여성의 허영에 관한 세태 보고
2. 가족로망스와 생리와 윤리의 세대 투쟁
3. 탐색 여행과 패륜 모녀의 남성 쟁탈
제3장_대중적 즐거움과 대상적 우월감의 감계 효과
1. 공모적 즐거움과 풍자적 태도의 저항 효과
2. 교양적 즐거움과 속물적 처세의 비판 효과
3. 육체적 즐거움과 혐오적 존재의 폄시 효과

제4부 산업화 시기 대중연애서사-낭만적 사랑과 반성적 인간학
제1장_인식적 주체와 플라토닉 사랑
1. ‘공범자’ 되기와 구원적 사랑
2. ‘백치’ 되기와 허여적 사랑
3. ‘각성자’ 되기와 평등적 사랑
제2장_성장소설의 구조와 비극적 ‘순수소설’
1. 남성 입사식 구조와 자연주의적 비극의 재현
2. 여성 제의적 성장구조와 파시즘적 알레고리
3. 성장과 반성장의 대립구조와 가족 풍속의 와해
제3장_대중적 멜랑콜리와 자발적 희생의 정화 효과
1. 공동체적 애도와 속죄양을 통한 면죄 효과
2. 신화적 동경과 낭만적 환상의 초월 효과
3. 비판적 연민과 결락된 일상의 재인 효과

제5부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사적 의미
제1장_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사적 의미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