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교사, 학교를 바꾸다 : 미래를 여는 교사운동 참교육에서 학교혁신으로
  • ㆍ저자사항 정진화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살림터, 2016
  • ㆍ형태사항 363 p.: 삽화; 23 cm
  • ㆍ총서사항 새로운학교 총서; 01
  • ㆍ일반노트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91159300158
  • ㆍ상세내용 참된 교육을 위해 애써온 많은 교사들의 발자취에 이름표를 붙여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쉽지 않은 여정을 함께하는 이들이 있어 앞만 보고 열심히 살아오면서도 무엇을 얼마만큼 했는지 막연하기도 했다. 걸어온 길이 큰 흐름으로 이어지며 우리 교육 혁신에 주춧돌이 되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앞일을 위해 선명한 이정표를 제시해주는 이 책을 많은 이들과 나누고 싶다. _김춘성·전남 정남진산업고등학교 교사
  • ㆍ주제어/키워드 교사 학교 교육에세이 참교육 학교혁신 세종도서학술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277865 2층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 학교개혁사의 방대한 흐름을 조망하다! 학교혁신의 중심에 선 교사들의 새로운학교 이야기 새로운학교는 일반 학교의 교과별·교사별·교실별 ‘단절’과 ‘분리’를 넘어 ‘협력’과 ‘연결’의 연쇄반응을 낳는다. ‘빈말’을 하는 형식적 계획과 보고가 아니라 ‘참말’로 진행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교사, 학교를 바꾸다 - 정진화 지음
새로운학교 총서 1권. 저자는 혁신학교의 모태가 되고 있는 새로운학교 운동의 정신이 학교혁신의 중심 철학에 면면히 녹아 이어져왔음을 밝히고 있으며, 아울러 혁신학교의 지속과 성공을 위해 운동과 제도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켜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글·서길원 4
추천의 글·김기석 6
머리말 11
Ⅰ. 들어가며 17
1.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흐름 19
2. 교사운동의 역사, 1945~1989 24
가. 8.15 해방 공간 25
나. 4.19 혁명 공간 30
다. 5.18 민주화운동 공간 35
라. 6월 항쟁 공간 41
3. 연구의 관점과 방법 50
Ⅱ. 교사연대 학교혁신 운동의 등장 55
1. 새로운학교운동의 태동 57
가. 1990년대 교육문제와 정부의 대응 57
나. 전교조 운동: 자율성과 전문성의 양 날개 72
다. 대안교육 운동: 새로운 교육의 상상과 실험 87
2. 새로운학교의 효시: 남한산초등학교 97
가. 이전의 학교혁신 사례 97
나. 폐교 위기의 학교 살리기 104
다. 새로운학교로 거듭나기 108
3. 새로운학교운동의 등장 114
가.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 사라지는 농어촌학교 살리기 114
나. 교장공모제 실시: 평교사가 교장으로 121
다. 혁신학교 추진: 운동과 제도의 만남 128
4. 새로운학교운동의 발전 140
가. 전교조 참교육운동의 전환: 교실에서 학교로 140
나. 새로운학교운동의 전개: 주체의 중복과 확산 145
다. 새로운학교운동의 유형과 기본 조건 155
Ⅲ. 새로운학교의 주요 특징 161
1. 학교 운영 체제 163
가. 학교자치 163
나. 교육 중심 운영 체제 183
2. 학교 문화 190
가. 참여와 소통, 협력 190
나. 교장 리더십 223
3. 교육과정과 수업 228
가. 교육 철학과 교육 목표 228
나. 교육과정 239
다. 수업 245
라. 평가 260
4. 학교 규모와 시설 266
가. 학교와 학급 규모 266
나. 건물과 시설 270
5. 지역사회와의 연계 276
Ⅳ. 새로운학교의 초기 성과 285
1. 교사 만족도 향상 287
2. 학생·학부모 만족도 향상 292
3. 학업성취도 향상 298
4. 학교 폭력 감소 303
5. 학생 건강 향상 311
Ⅴ. 교사연대 학교혁신 운동의 전진 315
1. 새로운학교운동의 의의 317
가. 한국 교육에 갖는 의미 318
나. 교사들에게 일어난 변화: 의미·관계·일의 전환 326
2. 앞으로의 과제 342
가. 새로운학교운동의 과제 342
나. 연구와 정책 과제 346
Ⅵ. 나가며 351
참고 문헌 358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