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한국 산문선. 2, 오래된 개울
  • ㆍ저자사항 권근 외 ;
  • ㆍ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2017
  • ㆍ형태사항 418 p. ; 24 cm
  • ㆍ일반노트 권말에 원문 수록
  • ㆍISBN 9788937415685(2)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산문선 신라 고려시대 산문
  • ㆍ소장기관 연암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EM0000282122 v.2 연암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안대회, 이종묵, 정민, 이현일, 이홍식, 장유승 등 한문학계 중진학자 6인이 8년에 걸쳐 이룬 역작 신라부터 조선 말기까지 망라한 최대 규모의 한국 명문 선집 처음으로 만나는 우리나라 문장의 통사우리나라의 고전 명문을 총망라한 『한국 산문선』(전 9권)이 민음사에서 완간되었다. 우리 고전의 부흥을...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한국 산문선 2 - 권근 외 지음, 이종묵.장유승 옮김
우리나라의 고전 명문을 총망라한 <한국 산문선>. 2권은 조선 개국에서 중종 연간까지, 조정에 나아가 세상을 경륜하는 문장과 재야로 물러나 내면의 수양에 힘쓰는 문장을 두루 실었다.

목차

조선 초기에서 중종 연간

정도전(鄭道傳)
농부와의 대화(答田夫)
충성스러운 아전 정침(鄭沈傳)
문장은 도를 싣는 그릇(京山李子安陶隱文集序)
세금을 내는 이유(賦稅)
윤회는 없다(佛氏輪廻之辨)

권근(權近)
오래된 개울(古澗記)
천지자연의 문장(恩門牧隱先生文集序)
뱃사공 이야기(舟翁說)
소를 타는 즐거움(騎牛說)
대머리라는 별명(童頭說)

변계량(卞季良)
금속 활자를 만든 뜻(鑄字跋)

김돈(金墩)
물시계의 집 흠경각(欽敬閣記)

유방선(柳方善)
세 물건을 벗으로 삼은 뜻(西坡三友說)

정인지(鄭麟趾)
『훈민정음』 서문(訓民正音序)

김수온(金守溫)
선비와 승려(贈敏大選序)
넘침을 경계하는 집(戒溢亭記)

양성지(梁誠之)
홍문관을 세우소서(請建弘文館)

신숙주(申叔舟)
일본은 어떤 나라인가(海東諸國記序)

강희안(姜希顔)
꽃을 키우는 이유(養花解)

서거정(徐居正)
고양이를 오해하였네(烏圓子賦)
우리 동방의 문장(東文選序)
먼 길을 떠나는 벗에게(送李書狀詩序)
직분을 지킨다는 것(守職)

이승소(李承召)
산 중의 왕 금강산(送法冏上人遊金剛山詩序)

강희맹(姜希孟)
나무 타는 이야기(升木說)
산에 오른 세 아들(登山說)
세 마리 꿩(三雉說)
오줌통 이야기(溺桶說)
부모를 뵈러 가는 벗에게(弘文館博士曹太虛榮親序)

김종직(金宗直)
당신의 인생은 끝나지 않았다(答南秋江書)
경학과 문학은 하나다(尹先生祥詩集序)
가리온을 팔다(鬻駱說)

김시습(金時習)
항상 생각하라(無思)
재화를 늘리는 법(生財說)
백성을 사랑하는 뜻(愛民義)

성현(成俔)
장악원의 역사(掌樂院題名記)
덕 있는 사람의 시(富林君詩集序)
게으른 농부(惰農說)
백성과 이익을 다투지 말라(浮休子傳)

유호인(兪好仁)
스승을 찾아서(贈曺太虛詩序)

채수(蔡壽)
폭포가 있는 석가산(石假山瀑㳍記)
꽃을 키우는 집(養花軒記)

홍유손(洪裕孫)
국화에서 배우다(贈金上舍書)

남효온(南孝溫)
물을 거울로 삼는 집(鑑亭記)
낚시터에서(釣臺記)

조위(曺偉)
독서당을 세운 뜻(讀書堂記)

최충성(崔忠成)
약을 먹어야 병이 낫는다(藥戒)

김일손(金馹孫)
미천한 아이의 글씨(題士浩跋朴訥書後)

신용개(申用漑)
법이 있어야 하는 이유(後續錄序)
어미 개를 구한 강아지(予見犬雛救咬母咬之犬)

이주(李胄)
진도의 금골산(金骨山錄)

남곤(南袞)
백사정에서 노닐다(遊白沙汀記)

김세필(金世弼)
세 가지 어려운 일(答客問贈魚子游別序)

이행(李荇)
소요유의 공간(逍遙洞記)

김안국(金安國)
모나게 산다(稜岩亭記)
이름 없는 집(草菴記)

박은(朴誾)
아내의 일생(亡室高靈申氏行狀)

이자(李耔)
세상을 떠난 벗을 추억하며(答趙秀才)

신광한(申光漢)
내가 바라는 것(企齋記)

김정국(金正國)
여덟 가지 남는 것(八餘居士自序)
여섯 가지 힘쓸 일(六務堂記)

서경덕(徐敬德)
멈추어야 할 곳(送沈敎授序)

기준(奇遵)
유배지에서 키운 노루(畜獐說)
물고기를 위로하는 글(養魚說)

주세붕(周世鵬)
죽은 병사의 백골을 묻어 줍시다(勸埋征南亡卒白骨文)

성운(成運)
허수아비(虛父贊)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