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대구감옥 127일, 그 고난의 기록 : 국역 『흑산일록』
  • ㆍ저자사항 장석영 지음 ;
  • ㆍ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 ㆍ형태사항 199, 138 p. : 천연색삽화, 초상 ; 23 cm
  • ㆍISBN 9788971805176
  • ㆍ주제어/키워드 대구감옥 127 고난 기록 국역 흑산일록
  • ㆍ소장기관 서부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소장처, 별치,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도서관서비스
SM0000235158 서부종합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 책 『대구감옥 127일, 그 고난의 기록: 국역 흑산일록』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는 교정본 『흑산일록』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 역자는 초고본과 교정본을 비교해 차이 나는 부분은 각주를 달아 표시하였고 『흑산일록』에는 없는 날짜별 제목을 붙여 사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대구감옥 127일, 그 고난의 기록 - 장석영 지음, 정우락 옮김
대한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장석영이 「파리장서」와 관련한 피체 과정과 옥중 생활을 적은 고난의 기록이다. 《흑산일록》을 쓴 것은 그의 나이 69세 때였는데,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기억에 의거하여 「파리장서」 작성 과정과 피체 과정, 8일간의 구류 생활, 127일간의 옥중 생활을 세세하게 그려 냈다.

목차

제1부 국역 『흑산일록』
1. [전언] 장석영, 「파리장서」를 쓰다
2. [3월 2일] 성주경찰서에 호출당하다
3. [3월 9일] 가택 수색을 당하고 성주경찰서에 구류되다
4. [3월 13일] 성현의 글에 따라 살고자 하노라
5. [3월 16일] 대구감옥으로 옮겨 수감되다
6. [3월 25일] 검사로부터 심문을 받다
7. [4월 10일] 방을 옮겨 주시오
8. [4월 13일] 구치감 제15감으로 옮기다
9. [4월 16일] 10년 만에 곽종석을 만나다
10. [4월 21일] 징역 2년 판결에 단식을 결행하다
11. [4월 24일] 공소장에 지장을 찍다
12. [4월 27일] 일본인 백기로부터 희망을 듣다
13. [5월 1일] 공소한 이유를 밝히다?
14. [5월 4일] 홀로 앉아 깊은 번민에 빠지다
15. [5월 5일] 우원의 면회로 부자가 상봉하다
16. [6월 6일] 부채를 돌려 가며 부치다
17. [6월 24일] 곽종석의 출옥 소식을 듣다
18. [6월 25일] 「파리장서」 서명인을 추궁당하다
19. [6월 28일] 다시 재판소로 들어가다
20. [7월 3일] 나라를 되찾기 위해 「파리장서」를 썼소
21. [7월 14일] 대청에 나가 사진을 찍다
22. [7월 21일] 복심원에 들어가 재판을 받다
23. [7월 26일]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석방되다
24. [7월 27일] 마침내 집으로 돌아오다
25. [11월 1일] 『흑산일록』을 완성하다
26. 부록 (1) 「조선 유림이 중화 정부에 드리는 글」
27. 부록 (2) 「동생이 옥에 있을 때, 두공부의 ‘아우를 그리워하며 구름을 보다가 한낮에 졸기도 하네’라는 시구를 읊으며 회포를 쓰다」 7절(七絶)
「동생이 출옥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제2부 논고: 장석영의 항일투쟁기 『흑산일록』
1. 『흑산일록』의 발굴 경위
2. 초고본과 교정본 사이
3. 『흑산일록』의 서술 방식과 구조
4. 『흑산일록』의 주요 내용과 가치
5. 새로운 모색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제3부 『흑산일록』 원문 교감
黑山綠(己未)

제4부 『흑산일록』과 판결문 영인
1. 초고본 『흑산일록』
2. 교정본 『흑산일록』
3. 대구지방법원 및 복심법원 판결문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